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백낙청白樂晴1938-
임형택林熒澤1943-
정승철鄭承喆1963-
최경봉崔炅鳳1965-
표제/저자사항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백낙청;임형택;정승철;최경봉 지음
발행사항파주:창비,2020
형태사항254 p.:삽화,초상화(또는 인물사진);23 cm
ISBNa9788936484446
인용자료주기권말부록: 「훈민정음언해 서문」 등
일반주제명국어사[國語史]
한국어[韓國語]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17585 710.9 백낙83ㅎ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초록

  • 초록

초록 일부

근대전환기 한반도의 현실에 대한 언어적 대응이라는 동태적 관점에서 한국어의 근현대사를 새로이 살펴보는 책이다. 한문 전통의 오랜 영향과 그로부터의 탈피, 일제강점기 민족문화운동과 해방 후 국어순화운동, 권위주의 정권의 표준어정책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돌아보는 한편 현행 언어규범의 문제점과 남북 간 언어정책의 과제 등을 살피며 우리말을 둘러싼 첨예한 현안을 짚...

more더보기

초록 전체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1장 어떤 한국어인가
 대화를 시작하며/ 한국어의 기원과 발자취/ '근대 한국어'라는 문제/ 한국사의 근대, 한국어의 근대 

2장 근대적 어문생활이 시작되다
 한자문화권에서 심화해온 문명의식/ 근대전환기, 이중문어체계의 성립/ 국문체와 국한문체, 이중문어체계의 변화/ 국문소설의 전통, 근대소설의 발판이 되다/ 표준어와 철자법, 어떻...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백낙청(지은이)

문학평론가, 영문학자, 편집인. 1938년 출생하고 경기고 졸업 후 미국으로 건너가 브라운대와 하바드대에서 수학했다. 박사과정 중에 1964년 서울대 영문학과 전임강사가 되었으며 나중에 다시 미국으로 가서 1972년 하바드대에서 D. H. 로런스 연구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6년 계간 『창작과비평』을 창간하고 2015년까지 편집인을 지냈으며, 서울대 영문과 교수,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시민방송 RTV 이사장,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상임대표,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1970년대 이래 민족문학론을 전개하고 분단체제론을 통해 한반도 문제의 체계적 인식과 실천적 극복에 매진해왔으며, 근대에 대한 탐구를 통해 새로운 문명전환의 사상을 연마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 계간 『창작과비평』 명예편집인, 한반도평화포럼 명예이사장으로 있다. 
저서로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1/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합본개정판)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2』 『민족문학의 새 단계: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3』 『통일시대 한국문학의 보람: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4』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일: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5』 등의 문학평론집과 연구비평서 『서양의 개벽사상가 D. H. 로런스』 『D. H. 로런스의 현대문명관』을 냈고,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흔들리는 분단체제』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어디가 중도며 어째서 변혁인가』 『2013년체제 만들기』 등의 사회평론서와 『백낙청 회화록』(전7권), 『변화의 시대를 공부하다』 『문명의 대전환을 공부하다』 등 다수의 공저서 및 편저서가 있다. 제2회 심산상, 제1회 대산문학상(평론부문), 제14회 요산문학상, 제5회 만해상 실천상, 제11회 늦봄문익환통일상, 제11회 한겨레통일문화상, 제3회 후광김대중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