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한글 이야기 . 1 , 한글의 역사 |
홍윤표 |
태학사 |
2013 |
2 |
조선시대 서울 사람들 . 1-2 |
노용필 |
어진이 |
2003 |
3 |
(역주)삼강행실도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2010 |
4 |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 |
권재일 |
박이정 |
2015 |
5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베버, 노르베르트 |
분도출판사 |
2012 |
6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 장소·사람·기억을 담다 |
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역사박물관 |
2022 |
7 |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 = Encounter with the brilliant scientific technology of the Joseon dynasty |
이소희 |
국립고궁박물관 |
2021 |
8 |
구술자료 메타데이터 작성 지침 |
국립중앙도서관 |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자료과 |
2023 |
9 |
메타버스와 함께 가는 문화예술교육 |
김태희 |
다빈치books |
2022 |
10 |
한국근대 아동극과 아동잡지 |
손증상 |
연극과인간 |
2022 |
11 |
어린이를 기다리는 동무에게 : 잡지 『어린이』(1923-1949) 완독 기념 |
권애영 |
이담북스 |
2022 |
12 |
문학소녀의 탄생 : 1950년대 여성 독서의 문화사 |
김윤경 |
책과함께 |
2022 |
13 |
(시각장애인과 점자입문자를 위한) 독학으로 익히는 점자 |
박민재 |
꼬닥꼬닥 협동조합 |
2020 |
14 |
(대학 교수마저 그만두고 파이어족이 된 경영학 박사의) 부를 부르는 50억 독서법 |
최성락 |
월요일의꿈 |
2022 |
15 |
한글 레터링 자료집 : 1950-1989 = Hangeul lettering archive 1950-1989 |
프로파간다 |
Propaganda(프로파간다) |
2022 |
16 |
(국역) 경성부사 . 1-3 |
서울특별시 . 시사편찬위원회 |
생각쉼표 |
2015 |
17 |
근대 한글 연구소 = Reinterpreting Hangeul on the modern era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2022 |
18 |
쉽게 읽는 서울사 : 조선편 . 1-2 |
고동환 |
서울역사편찬원 |
2019 |
19 |
활자본색 : 우리가 몰랐던 조선 활자 이야기 |
이재정 |
책과함께 |
2022 |
20 |
(언해본 『삼강행실도』로 익히는) 중세국어 : v1.0 |
김유범 |
역락 |
2022 |
21 |
(중세국어 교육을 위한) 정본定本 언해본 삼강행실도 : 효자 |
김유범 |
역락 |
2022 |
22 |
기록의 분류·기술과 검색도구 |
이해영 |
선인 |
2020 |
23 |
뮤지엄 서울 |
김서울 |
호미와낫 |
2020 |
24 |
조선의 중인들 : 정조의 르네상스를 만든 건 사대부가 아니라 '중인'이었다 |
허경진 |
RHK(알에이치코리아) |
2015 |
25 |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 1-2 = The history and structure of Chosŏn's cultures of documentation |
조계영 |
소명출판 |
2014 |
26 |
메타버스 for 에듀테크 : 게더타운(gather.town), 이프랜드(ifland), 제페토(ZEPETO), 가상현실 코스페이시스(cospaces) |
변문경 |
다빈치books |
2021 |
27 |
메타버스 교육 프로젝트 : 게더타운 공식 파트너사의 행사·전시·교육공간 구축 노하우 |
변문경 |
다빈치books |
2021 |
28 |
영조윤음 : 신료와 백성에게 직접 글을 쓰는 국왕의 등장 |
영조 |
그물 |
2019 |
29 |
뮤지엄 전시기획 시작하기 : 전시기획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A design recipe for museum exhibitions |
이성연 |
훈스토리북 |
2021 |
30 |
내방가사 : 이내말삼 드러보소 = Naebang Gasa : Women's Voices heard through Lyrics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2021 |
31 |
세종과 한글 이야기 |
홍현보 |
이회 |
2022 |
32 |
첩해신어 . 1-4 |
강우성 |
학자원 |
2018 |
33 |
訓民正音 |
한국학자료원 . 편집부 |
한국학자료원 |
2021 |
34 |
한글생활사 연구 |
백두현 |
역락 |
2021 |
35 |
한글문화사 |
김동언 |
박이정 |
2021 |
36 |
삼강행실도 : 효자편 |
김원용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1982 |
37 |
삼강행실도 : 충신편 |
김원용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1982 |
38 |
大韓帝國時期 新聞硏究 |
최기영 |
一潮閣 |
1991 |
39 |
古汉语常用字字典 = Gu hanyu chang yong zi zidian |
고한어상용자자전 편사조 |
商务印书馆 |
1993 |
40 |
(예문고) 국역 증보문헌비고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1980 |
41 |
한자의 역사 : 동아시아 한자 인문로드 |
한자문명연구사업단 |
역락 |
2020 |
42 |
(한 권으로 읽는) 박물관학 : Museum and gallery studies:(the)basics |
리아넌 메이슨 |
사회평론아카데미 |
2020 |
43 |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 근대 교과서 백년, 다시 새 세기를 넘어 = (A) history of Korean textbooks : a century modern textbooks, beyond the new century |
이종국 |
대한교과서 |
2008 |
44 |
세계의 최고 행정기관 기록물 이관 : 사례와 쟁점 |
노명환 |
선인 |
2020 |
45 |
儀軌, 朝鮮王室文化史 |
한영우 |
민속원 |
2020 |
46 |
언어화의 힘 : 말로 표현할 수 있으면 인생이 달라진다 |
미우라 타카히로 |
시그마북스 |
2020 |
47 |
조선시대 여성과 한글 발전 : 여성이 아니었으면 훈민정음이 살아남았을까? |
김슬옹 |
역락 |
2020 |
48 |
나라말이 사라진 날 : 우리말글을 지키기 위한 조선어학회의 말모이 투쟁사 |
정재환 |
생각정원 |
2020 |
49 |
일상과 감각의 한국디자인 문화사 : 우리가 사랑한 물건들로 본 한국인의 자화상 |
조현신 |
글항아리 |
2018 |
50 |
(광고의 역사 속에서 만나는) 한글의 세 가지 얼굴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2020 |
51 |
역주 첩해신어(원간본·개수본)의 일본어 . 上-中 |
민병찬 |
시간의물레 |
2020 |
52 |
조선후기 서지사 연구 |
신양선 |
혜안 |
1996 |
53 |
활판 공방 탐사 : 일본 구석구석 숨어있는 활판인쇄 공방 탐사기 |
김진섭 |
책공방 |
2020 |
54 |
도서관의 삶, 책들의 운명 |
수전, 올리언 |
글항아리 |
2019 |
55 |
방구석 미술관 : 가볍고 편하게 시작하는 유쾌한 교양 미술 |
조원재 |
블랙피쉬 |
2018 |
56 |
한국 레터프레스 100년 인쇄도감 = The history of Korea letterpress 100 years |
김진섭 |
책공방북아트센터 |
2015 |
57 |
문자, 매체, 도시 |
남덕현 |
한국문화사 |
2018 |
58 |
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 Archive contents archiving |
노명환 |
Huine(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
2019 |
59 |
안목의 성장 |
이내옥 |
민음사 |
2018 |
60 |
한국 언론사 : 한성순보에서 유튜브까지 |
강준만 |
인물과사상사 |
2019 |
61 |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 문화 |
신명호 |
돌베개 |
2002 |
62 |
韓国の伝統芸能と東アジア |
서연호 |
論創社 |
2015 |
63 |
동아시아 여러문자와 한글 : 한글 창제의 비밀을 밝히다 |
정광 |
지식산업사 |
2019 |
64 |
600년 서울 땅이름 이야기 |
김기빈 |
살림터 |
1993 |
65 |
(校勘標點)大明律直解 |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번역원 |
2018 |
66 |
세계문화사 = A history of world civilization |
민석홍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2006 |
67 |
거짓말하는 어른 : 김지은 평론집 |
김지은 |
문학동네 |
2016 |
68 |
왕실 가족의 출생과 성장 |
김지영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2018 |
69 |
알렌의 日記 |
알렌, 호러스 뉴턴 |
檀國大學校出版部 |
1991 |
70 |
20세기의 매체철학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
심혜련 |
그린비출판사 |
2012 |
71 |
(학예사를 위한) 박물관의 문화복지서비스 |
윤병화 |
예문사 |
2014 |
72 |
미국공사왕복수록 |
이상재 |
국외소재문화재재단 |
2019 |
73 |
Morir después de amar |
Kim, Bu-ja |
Bonobos Editores |
2014 |
74 |
Antología poética de Kim Su-young arranca esa foto y úsala para limpiarte el culo |
Kim Su-young |
Bonobos |
2011 |
75 |
문자와 상상 |
아단문고 |
아단문고 |
2014 |
76 |
말의소리 |
김한영 |
한국학술정보 |
2019 |
77 |
(책사람 강연) 한글로 한자를 배우다 : 2019.8.11 |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편] |
국립한글박물관 |
2019 |
78 |
마법의 유치원 화장실 |
고정욱 |
크래들 |
2019 |
79 |
마법의 유치원 버스 |
고정욱 |
크래들 |
2008 |
80 |
기술매체 시대의 텍스트와 미학 |
연세대학교 . HUNO프로젝트연구단 |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05 |
81 |
글자 풍경 : 글자에 아로새긴 스물일곱 가지 세상 |
유지원 |
을유문화사 |
2019 |
82 |
실록이란 무엇인가 : 조선 문명의 일기 |
오항령 |
역사비평사 |
2018 |
83 |
조선서지학 서론 : 서양인이 본 한국문화 |
쿠랑, 모리스 |
탐구당 |
2015 |
84 |
(책사람 강연) 조선시대 말판놀이, 한글 승경도 : 2019.2.23 |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편] |
국립한글박물관 |
2019 |
85 |
조선 시대 백성들의 커뮤니케이션 |
채백 |
Culture Look(컬처룩) |
2017 |
86 |
사전의 재발견 : 2018 기획특별전 = Dictionaries of Korea, a new perspective |
국립한글박물관 |
국립한글박물관 |
2018 |
87 |
신소설, 언어와 정치 = New novel in Korea : its language and politics |
권보드래 |
소명출판 |
2014 |
88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순례 |
유홍준 |
창비 |
2018 |
89 |
활자와 근대 : 1883년, 지식의 질서가 바뀌던 날 |
박천홍 |
너머북스 |
2018 |
90 |
조선시대 영어교재 , 아학편 |
정약용 |
베리북 |
2018 |
91 |
나무예찬 : 나무에서 배우는 삶의 자세 |
강판권 |
지식프레임 |
2017 |
92 |
간찰 선비의 일상 : 겸산선생謙山先生 간찰필첩簡札筆帖 |
박상수 |
수류화개 |
2017 |
93 |
서울의 지명 유래와 옛이야기 |
유춘동 |
보고사 |
2015 |
94 |
불교와 한글, 한국어 = The Buddhism, Hangeul and the Korean language |
서상규 |
한국문화사 |
2017 |
95 |
ㅎ : 타이포그라피 교양지 히읗 [연속간행물] |
활자공간 |
활자공간 |
2012 |
96 |
조선상고사 : 국사 교과서가 가르쳐주지 않는 우리 역사 |
신채호 |
역사의아침 |
2014 |
97 |
근대네이션과 그 표상들 :타자·교통·번역·에크리튀르 =Modern nation and its representations : national language discourse in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ization in Korea |
황호덕 |
소명출판 |
2005 |
98 |
책쾌 송신용 :평생을 책과 함께한 마지막 서적 중개상 |
이민희 |
위즈덤하우스 |
2011 |
99 |
광고로 보는 근대문화사 |
김병희 |
살림출판사 |
2014 |
100 |
Korea : 영어로 읽는 먼나라 이웃나라 |
Rhie, Won-Bok |
Gimm-Young International |
2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