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유형 | 단행본 |
---|---|
개인저자 | 김슬옹 |
표제/저자사항 | 조선시대 여성과 한글 발전:여성이 아니었으면 훈민정음이 살아남았을까? /김슬옹 |
발행사항 | 서울:역락,2020 |
형태사항 | 599 p. :삽화;23cm |
ISBN | 9791162445921 |
서지주기 | 권 말 참고문헌 수록 |
인용자료주기 | 부록: 부록1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언문 여성 관련 기사 요약(임금별), 부록2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언문 여성 관련 기사 요약(세기별) 수록 |
입수처 주기 | 국립한글박물관 연구교육과기증EM021254 |
비통제주제어 | 한글편지,언간,한글 간찰,한글 사용,한글 실용서,한글 발전,한글문화,언문, |
No.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자료 위치 | 이용상태 | 예약 |
---|---|---|---|---|---|
1 | EM017417 | 710.9 김슬65ㅈ | 문자언어 서가 | 이용가능 | |
2 | EM021254 | 710.9 김슬65ㅈ c.2 | 문자언어 서가 | 이용중 |
세종대왕은 해례본에서 한문으로 인해 말과 글이 유통이 안 되고 한자를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이 유통이 안 되는 언어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선언했다. 바로 한글은 사람 중심으로 보면 다양한 계층이 유통이 되게 하는 그런 문자였고 실제 그런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사람 사이의 유통을 촉발하게 하는 촉매제 역할을 한 이들이 지배층 여성, ...
1부 여성의 훈민정음(한글) 사용 배경과 의미
1장 왜 훈민정음과 여성인가
1.1. 연구 동기와 목적
1.2. 연구 방법론
1.3. 연구 자료 구성
1.4. 주요 연구사
1.5. 맺음말: 우리말글 역사 바로 세우기
2장 여성과 문자에 대한 사회적.역사적 배경
2.1. 머리말
2.2. 문자의 권력성에 대한 사회적 배경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