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환유와 인지 : 인지언어학적 접근법 = Metonymy and cognition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동환金東換1969-
표제/저자사항환유와 인지=Metonymy and cognition:인지언어학적 접근법 /김동환 지음
발행사항서울:한국문화사,2019
형태사항xix, 337 p.;23 cm
총서사항한국문화사 인지언어학 시리즈.
ISBN9788968177798
서지주기참고문헌(p. 316-331)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인지 언어학[認知言語學]
환유법[換喩法]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17123 701.2 김동95ㅎ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초록

  • 초록

초록 일부

[책소개]


환유는 은유와 혼성 같은 비유적 구조를 환기시키는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그 범주도 다양해서 때에 따라 환유와 은유가 상호작용하는 비유 언어도 존재한다는 학설까지 제기되고 있다. 국내의 환유 연구는 국외의 환유 연구 분위기와 비교할 때 연구의 흐름조차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기에환유 연구서를출간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고...

more더보기

초록 전체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들어가는 말 = ⅴ
제1부 환유의 기본 개념 
  제1장 환유의 본질 
    1. 환유의 정의 = 3
    2. 환유의 기능 = 5
    3. 환유의 유형 = 9
    4. 환유의 존재론적 현저성 원리 = 47
  제2장 환유의 경계 설정 
    1. 환유와 은유 = 61
    2. 환유와 제유 = 78
    3. 환유와 활성...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김동환 

경북대학교 영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해군사관학교 영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개념적 혼성 이론』(2002)(학술원 우수도서), 『인지언어학과 의미』(2005)(문광부 우수도서), 『인지언어학과 개념적 혼성 이론』(2013)이 있고, 번역서로는 『인지언어학 개론』(1998)(문광부 우수도서), 『언어의 의미』(2002), 『인지언어학 입문』(2003), 『영어 전치사의 의미론』(2004), 『인지문법』(2005), 『은유와 영상도식』(2006), 『은유와 도상성』(2007), 『인지언어학 기초』(2008), 『은유 소개』(2008), 『은유와 문화의 만남』(2009),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2009)(학술원 우수도서), 『은유와 감정』(2009), 『인지언어학 용어사전』(2010), 『인지언어학 개론: 개정판』(2010),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0), 『인지언어학 옥스퍼드 핸드북』(2011), 『몸의 의미』(2012), 『인지언어학적 어휘의미론』(2012), 『인지언어학과 외국어 교수법』(2012),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2013), 『인지언어학의 외국어 교수법 핸드북』(2013), 『영어의 창조적 합성어』(2014), 『이야기의 언어』(2014), 『은유』(2014), 『개념적 환유와 사전학』(2015), 『과학과 인문학』(2015), 『영어의 인지언어학적 접근법』(2015), 『인지언어학과 제2언어 학습』(2015), 『비유 언어』(2015), 『환유와 언어·사고·뇌』(2016), 『비유 언어의 관습성』(2016), 『하이브리드 은유 이론』(2016), 『비판적 담화분석과 인지과학』(2017), 『담화, 문법, 이데올로기』(2017), 『고대 영시의 인지적 접근법』(2017), 『진짜 두꺼비가 나오는 상상 속의 정원』(2017), 『인지언어학 블룸즈버리 핸드북』(2018), 『환유의 인지언어학적 접근법』(2018), 『인지언어학 핸드북』(2018), 『애쓰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2018), 『생각의 기원: 개념적 혼성, 창의성, 인간적 스파크』(2019), 『은유에서의 틀과 구문』(2019) 등이 있다.

[알라딘 제공]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