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 :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소설 삽화 = Art + literature : history of novels and illustrations in 1910s~1940s' Korea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공성수孔聖秀1975-
표제/저자사항소설과 삽화의 예술사: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소설 삽화=Art + literature : history of novels and illustrations in 1910s~1940s' Korea/지은이: 공성수
발행사항서울:소명출판,2020
형태사항394 p. :삽화,사진;24 cm
총서사항연세근대한국학 총서 ;137
총서부출표목연세근대한국학 총서 ;137
ISBN9791159054969
서지주기참고문헌과 "신문연재소설 삽화연보" 수록
일반주제명한국 근대 소설[韓國近代小說]
삽화(그림)[揷畵]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16846 813.6 공성56ㅅ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초록

  • 초록

초록 일부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의 핵심을 쉽게 요약하면, 소설과 삽화를 함께 읽을 때 훨씬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언뜻 너무도 당연한 이야기처럼 들린다. 하지만 이런 자명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소설과 삽화를 함께 연구한 경우가 드물었던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그건 근대 학문의 경계가 너무 높고 두터웠던 탓이다. 근대 학제의 체계에서, 소설과...

more더보기

초록 전체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9 
 1. 소설과 삽화의 상호텍스트 시학 9 
소설, 삽화, 서사 메타텍스트(metatext)로서의 삽화 곁텍스트(paratext)로서의 삽화 
2.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 시론 22 
근대소설의 타자로서 소설 삽화 소설 삽화와 근대 독자의 재구성 소설 삽화의 시대적 의미 

 제2장 1910년대 초반-신문연재소설의 탄생과 매체 교섭...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