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9
1. 소설과 삽화의 상호텍스트 시학 9
소설, 삽화, 서사 메타텍스트(metatext)로서의 삽화 곁텍스트(paratext)로서의 삽화
2. 소설과 삽화의 예술사 시론 22
근대소설의 타자로서 소설 삽화 소설 삽화와 근대 독자의 재구성 소설 삽화의 시대적 의미

제2장 1910년대 초반-신문연재소설의 탄생과 매체 교섭 33
줄거리를 환기하는 삽화와 개화기 독자의 재구성 근대를 반영하는 삽화와 서사적 사실감의 모색 허구 서사의 리얼리티와 사건의 연출 소설과 삽화의 상호텍스트성

제3장 1910년대 중반-번안소설·삽화의 유입과 신파의 감성 91
메타텍스트로서의 소설 삽화 읽기 장면의 극적 재현과 미장센의 강조 풍경의 연출과 내면의 은유 구성되는 풍경과 응시하는 주체의 등장 은유의 삽화와 공감의 기획

제4장 1920년대 초중반-근대소설의 형성기 삽화 미술의 실험 157
한국소설 삽화의 전개와 석영 안석주 비구상의 그림과 비일상적 재현의 삽화 분할되는 신체와 상징적 재현의 삽화 투사되는 내면과 그림자의 발견 위반하는 삽화와 누드화 소설 삽화의 상호텍스트성

제5장 1920년대 후반-근대소설의 정착과 소설 삽화의 대유행 225
문학사적 사건으로서 연작소설 「황원행」 1920년대 소설과 삽화의 구성원리로서 사실주의 현실 세계의 참조를 통한 사실감의 연출 이미지의 축적과 서사적 일관성 1920년, 시대의 담론으로서 리얼리티(즘)

제6장 1930년대 초반-모더니즘 소설과 삽화의 탈경계적 사유 269
1930년대 혼종의 글쓰기와 소설가의 자작 삽화 그림 공간에 틈입한 문자 지표로서의 문자와 시공간의 근대적 재현 유희의 대상으로서 문자와 개별적 독서 체험 문자의 양면성과 근대적 독자의 재구

제7장 1930년대 후반-탐정소설과 삽화의 장르 미학과 서사 설계 311
장르소설과 삽화의 형식적 미학 곁텍스트로서의 표제화와 그로테스크 미학 장르물로서의 소설 삽화와 화면 연출 소설과 삽화의 협업, 그리고 탐정 서사의 설계

참고문헌 362
그림 출처 372
부록-신문연재소설 삽화연보 379
간행사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