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 언어를 다루는 기술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Ong Walter J.
임명진
표제/저자사항구술문화와 문자문화:언어를 다루는 기술 /월터 J. 옹 지음임명진 옮김.
판사항개정판[실은 3판].
발행사항서울:문예출판사,2018
형태사항351 p.:삽화;23 cm
부분표제Orality and literacy:
ISBN9788931011104
일반주기 원저자명 : Walter J. Ong
출간 30주년 기념판으로 출간되었으며, 존 하틀리(John Hartley) 교수의 해제를 번역해 실음
서지주기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일반용주기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16338 701 옹월884ㄱ3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초록

  • 초록

초록 일부

개정판으로 나온 『구술문화와 문자문화』는 초판 출간 30주년 기념판을 번역한 것으로 호주 커틴대학교의 존 하틀리 교수의 해제를 추가한 판본이다. 『구술문화와 문자문화』는 1995년 국내에 처음으로 번역된 이후 지금까지 꾸준하게 관심을 받아왔다. 이번에 30주년 기념판이 출간됨으로써, 『구술문화와 문자문화』가 후대의 학문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다시 한 번 돌...

more더보기

초록 전체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옹이즘(ONGISM) 이전 (존 하틀리) 
서문

1장-언어의 구술성 
 문자성에 입각한 정신과 구술성에 입각한 과거 
''구전문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2장-일차적 구술성에 대한 현대의 발견
 구두 전승에 대한 초기의 주목
 호메로스의 문제 
 밀먼 패리의 발견 
 후속 연구와 관련 연구 

3장-구술성의 정신역학 
 힘과 행위로서의 음성 언어 
 ...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월터 J. 옹

저자 : 월터 J. 옹
미국 예수회 신부이자 고전연구자·신학자·매체론자·문학비평가. 미국 캔자스시티에서 태어나 록허스트대학에서 고전학을 전공하였으며, 1935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카톨릭 사제의 길을 걸었다. 세인트루이스대학교에서 맥루언(M. MCLUHAN)의 지도로 영국 시인 홉킨스(G. M. HOPKINS)를 연구해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1954년에는 하버드대학교에서 밀러(P. MILLER)의 지도로 프랑스 교육개혁자인 라무스(P. RAMUS)의 수사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약 30년간 세인트루이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고, 한때 백악관 교육 TF팀,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의 연구원, 미국밀턴학회 회장, 미국현대언어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2003년 미국 미주리 주에서 사망했다.

중세 수사학을 연구하면서 언어의 구술성과 문자성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이후 커뮤니케이션·미디어 기술이 인간의 말과 사고에 미친 영향력을 꾸준히 탐구했다. 이런 연구 결과들을 RAMUS, METHOD, AND THE DECAY OF DIALOGUE(1958), THE PRESENCE OF THE WORD(1967), RHETORIC, ROMANCE, AND TECHNOLOGY(1971), INTERFACES OF THE WORD(1977) 등의 저술로 발표하였고, 뒤에 이를 정리하여 ORALITY AND LITERACY :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1982)로 종합하였다. 그는 이런 일련의 저술을 통하여 언어와 관련된 미디어가 언어를 보전하고 확장하고 변경하는 데 어떻게 이용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이용 방식이 인간의 의식이나 사고 패턴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연구했다. 

이 밖에 그의 저술로는 FRONTIERS IN AMERICAN CATHOLICISM(1957), THE BARBARIAN WITHIN(1962), IN THE HUMAN GRAIN(1967), HOPKINS, THE SELF, AND GOD(1986), FAITH AND CONTEXTS(1992~1999), AN ONG READER(2002) 등이 있다.

역자 : 임명진
전북대 명예교수이자 문학비평가. 전북 장수 출생으로 전북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한국문학을 공부하였다. 1985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었다. 1991~2018년 전북대 국문과 교수 재직 시 주로 문학비평론·한국현대문학사·현대소설론 등을 강의하였다. 현대문학이론학회장,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 전북작가회의 회장, 한국언어문학회장, 전북민예총 회장, 6·15공동선언실천전북본부 상임의장 등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제3세대 비평문학』(1987, 공저), 『문학의 비평적 대화와 해석』(1997), 『판소리의 공연예술적 특성』(2003, 공저), 『한국 근대소설과 서사전통』(2004), 『탈경계의 문학과 비평』(2008), 『한국 현대문학과 탈식민성』(2012, 공저), 『탈식민의 시각으로 보는 한국현대문학사』(2015)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문학의 의미』(1985)가 있으며, 엮은 책으로는 『호남좌도 풍물굿』(1994, 이하 공편), 『호남우도 풍물굿』(1995), 『페미니즘 문학론』(1996), 『판소리 단가』(2003), 『전북문학지도 1·2·3』(2004~6) 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