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옹이즘(ONGISM) 이전 (존 하틀리) 
서문

1장-언어의 구술성
문자성에 입각한 정신과 구술성에 입각한 과거
''구전문학''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2장-일차적 구술성에 대한 현대의 발견
구두 전승에 대한 초기의 주목
호메로스의 문제
밀먼 패리의 발견
후속 연구와 관련 연구

3장-구술성의 정신역학
힘과 행위로서의 음성 언어
생각해낼 수 있어야 아는 것이다: 기억술과 정형구
구술문화에 입각한 사고와 표현의 특징들
구술문화의 기억형성
목소리에 의지하는 생활양식
영웅적이고 ''무거운'' 인물과 괴팍한 인물의 인식적 역할
소리의 내면성
구술성, 공동체, 성스러운 것
말은 기호가 아니다

4장-쓰기는 의식을 재구조한다
자율적 담론의 새로운 세계
플라톤, 쓰기, 컴퓨터
쓰기는 기술이다
''쓰기'' 또는 ''기록물''이란 무엇인가
기록물은 많으나 알파벳은 오직 하나
문자성의 시작
기억으로부터 쓰인 기록까지
텍스트성의 역학
거리, 정확성, 기록방언, 대량의 어휘
쓰기와 구술성의 상호작용 (1): 수사법과 그것이 쓰이는 장소
쓰기와 구술문화의 상호작용 (2): 학술 언어
구술성의 완고함

5장-인쇄, 공간, 닫힌 텍스트
청각 우위에서 시각 우위로
공간과 의미
한층 광범위한 영향
인쇄와 폐쇄 : 상호텍스트성
활자 이후 : 전자

6장-구술적 기억, 줄거리, 성격화
줄거리의 기본
내러티브와 구술문화
구술적인 기억과 줄거리
플롯의 폐쇄 : 여행담에서 추리소설로
''입체적'' 인물, 쓰기, 인쇄

7장-몇 가지 정리
문학사
신비평과 형식주의
구조주의
텍스트주의자와 탈구조주의자
언어행위론과 독자반응론
사회과학, 철학, 성서 연구
구술성, 쓰기, 인간적인 것
''미디어'' 대 인간의 의사소통
내면으로의 회귀: 의식과 텍스트

옹이즘(ONGISM) 이후 (존 하틀리)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의 참고 문헌
존 하틀리 교수가 추가한 장에 대한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의 찾아보기
존 하틀리 교수가 추가한 장에 대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