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더 나은 언어생활을 위한) 우리말 강화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최경봉
표제/저자사항(더 나은 언어생활을 위한) 우리말 강화 /최경봉 지음.
발행사항서울:책과함께,2019
형태사항335 p.;20 cm
ISBN9791188990351
일반주제명국어(언어)[國語]
언어생활[言語 生活]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15902 710 최경45ㅇ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초록

  • 초록

초록 일부

세상에 그냥 쓰이는 말은 없다. 우리가 쓰는 말들에는 그 말들이 만들어지고 정착된 언어적 이유와 역사적 맥락이 있다. 그냥 생겨나서 아무 이유 없이 정착되어 쓰이는 말은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우리가 쓰는 말이 지금처럼 쓰이게 된 이유를 파악해야 한다.

국어학자 최경봉 교수가 지금 한국인들이 많이 쓰는 말에 대해 그 ‘...

more더보기

초록 전체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1부 그 말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 말 만들기의 원리 
 가짜뉴스 | 개이득과 개 좋아 | 개장국과 육개장 | 고급지다 | 극장골과 극장 | 긴팔과 긴소매 | ‘꽃’과 어울려 만들어진 말 | ‘꿀’과 어울려 만들어진 말 | 도끼병 | 떡락과 떡 | 마른장마 | 불맛 | 비혼(非婚)과 비정규직(非正規職) | 삼계탕(蔘鷄湯)과 계삼탕(鷄蔘湯)...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최경봉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편찬실에서 근무하며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편찬에 참여했고, 어휘의미론, 국어학사, 국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하고 있다. 
우리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근본 원리를 파악해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말이 만들어지게 된 맥락,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상호작용, 우리말 사용자의 경험과 생각, 사회적 상황이 의미 변화와 정착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꾸준히 연구해 왔다. 또한 학술서부터 교양서까지 다수 집필하며 우리말에 대한 이해 지평을 넓히고자 노력해 왔다. 
지은 책으로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어휘의미론: 의미의 존재 양식과 실현 양상에 대한 탐구》,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우리말 문법 이야기》,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이 있으며, 함께 지은 책으로 《국어 사전학 개론》,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한글과 과학문명》,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우리말의 수수께끼》, 《영어 공용화 국가의 말과 삶》 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