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느티나무 [비디오녹화자료] . [224] , 세종은 왜 칠정산을 만들었나?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시각/영상자료
단체저자명케이비에스
표제/저자사항느티나무[비디오녹화자료].KBS 기획.
발행사항서울:KBS Media,[2016]
형태사항비디오디스크 1매(10분):유성, 천연색;12 cm
일반주기 방송일자: 2010.04.01
임의권차를 부여함
요약세종 4년(1422년), 창덕궁이 발칵 뒤집히는 사건이 일어났다. 일어난다고 했던 개기일식이 일어나지 않은 것이다. 당시 하늘의 뜻은 백성의 뜻과 동일시됐다. 때문에 이 사건으로 세종은 폐위의 위협을 받아야 할 정떵였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당시 우리나라의 역법은 중국의 역법기준인 선명력, 대통력, 수시력을 따랐다. 당연히 우리나라와는 오차가 드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 일을 계기로 세종은 각종 천문과학기구들을 제작해 한양을 기준으로 칠정(해,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관측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년만인 세종24년(1442년), 우리나라 최초의 자주적 역법서인 <칠정산>이 완성된다. 세종은 <칠정산 내,외편>을 통해 조선이 천하의 중심임을 알리고, 조선의 천문학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이다. 20년에 걸친 <칠정산> 프로젝트를 통해 세종이 꿈꾸었던 조선의 자주 정신과 위민정신을 생각해본다.
이용대상자주기전체 관람가
시스템사항주기Dolby Digital
비통제주제어세종,칠정산,느티나무,다큐멘터리,DVD,
일반용주기사운드트랙: 한국어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AV000717 DV 380.911 케68ㄴ v.[224] 영상자료실 서가 이용가능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