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 보기
LDR00000ngm c2200205 k 4500
001000000009120
00520220630094102
007vd cgairq
008161220q2016 ulk010 avlkor
040 ▼a 311768 ▼c 311768 ▼d 311768 ▼d 211062
0490 ▼l AV000717 ▼f DV
056 ▼a 380.911 ▼2 6
090 ▼a 380.911 ▼b 케68ㄴ ▼c v.[224]
24500 ▼a 느티나무 ▼h [비디오녹화자료]. ▼n [224], ▼p 세종은 왜 칠정산을 만들었나? / ▼d KBS 기획.
260 ▼a 서울: ▼b KBS Media, ▼c [2016]
300 ▼a 비디오디스크 1매(10분): ▼b 유성, 천연색; ▼c 12 cm
500 ▼a 방송일자: 2010.04.01
500 ▼a 임의권차를 부여함
520 ▼a 세종 4년(1422년), 창덕궁이 발칵 뒤집히는 사건이 일어났다. 일어난다고 했던 개기일식이 일어나지 않은 것이다. 당시 하늘의 뜻은 백성의 뜻과 동일시됐다. 때문에 이 사건으로 세종은 폐위의 위협을 받아야 할 정떵였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당시 우리나라의 역법은 중국의 역법기준인 선명력, 대통력, 수시력을 따랐다. 당연히 우리나라와는 오차가 드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 일을 계기로 세종은 각종 천문과학기구들을 제작해 한양을 기준으로 칠정(해,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관측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년만인 세종24년(1442년), 우리나라 최초의 자주적 역법서인 <칠정산>이 완성된다. 세종은 <칠정산 내,외편>을 통해 조선이 천하의 중심임을 알리고, 조선의 천문학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린 것이다. 20년에 걸친 <칠정산> 프로젝트를 통해 세종이 꿈꾸었던 조선의 자주 정신과 위민정신을 생각해본다.
521 ▼a 전체 관람가
538 ▼a Dolby Digital
546 ▼a 사운드트랙: 한국어
653 ▼a 세종 ▼a 칠정산 ▼a 느티나무 ▼a 다큐멘터리 ▼a DVD
710 ▼a 케이비에스
910 0 ▼a 한국방송공사.
910 0 ▼a KBS.
9500 ▼b \28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