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21세기에 다시 보는 한국근현대사 [DVD 녹화자료] .제4강 ,다시 보는 6.25전쟁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시각/영상자료
개인저자허동현
단체저자명한국교육방송공사.
표제/저자사항21세기에 다시 보는 한국근현대사[DVD 녹화자료].EBS [편]
발행사항서울:EBS,[2016]
형태사항DVD 1매(45분):유성, 천연색;12 cm
총서사항(EBS) 역사특강.
총서부출표목EBS 역사특강이비에스 역사특강
일반주기 더빙: 한국어
방영일: 2014.02.20
제작진주기제작진: 책임프로듀서, 김현주 ; 프로듀서, 권오민 ; 카메라감독, 여운길, 송대갑, 정호균, 임영환 ; 종합편집, 박창욱, 김남훈 ; 연출, 김혜정
연주자와 배역진강사: 허동현
요약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일요일 아침의 평화롭고 느긋한 공기는 멀리서 들려오는 몇 발의 포성에 찢겨나갔다. 6.25전쟁은 북한의 기습공격으로 시작됐다. 북한의 공격에 무방비 상태였던 남한은 속수무책으로 당했고, 전쟁 발발 3일 만에 서울을 빼앗긴데 이어 3개월 후에는 경상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한반도 전역이 북한의 점령 하에 들어가게 됐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휴전 논의가 시작되었다. 특히 1953년에는 국제 정세에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난다. 북한에 지원을 해 준 스탈린이 사망했고, 미국에서는 조기 종전을 공약으로 내건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에 당선된다. 휴전제의가 급물살을 타게 된 가운데, 이승만은 휴전에 대해 결사반대를 외치며 반공포로들을 대규모로 석방하는 승부수까지 띄운다. 결국 미국은 이승만을 달래기 위해, 이승만이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끊임없이 요구해왔던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며 마침내 6.25전쟁은 마침표를 찍는다. 전쟁은 끝났지만 한반도에는 깊은 상흔이 남았다. 남북 합쳐 200만 명이 넘는 인명이 스러졌고 국토는 피폐화됐으며 남과 북을 둘로 가른 38선은 냉전의 상징이 됐다. 우리 민족에게 씻을 수 없는 아픔을 남긴 지난 6.25전쟁을 돌아보며, 두 번 다시 이런 비극을 겪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모색해본다.
이용대상자주기[전체 관람가]
시스템사항주기DVD 플레이어; DVD 롬 장착pc
일반주제명역사
비통제주제어21세기,한국근현대사,역사,한국사,DVD,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AV000436 DV 911.06 한16ㅇ v.4 영상자료실 서가 이용가능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