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C 보기
LDR00000ngm c2200205 k 4500
001000000007576
00520160911133857
007vd cgairq
008160810q2016 ulk045 avzkor
040 ▼a 311768 ▼c 311768
0490 ▼l AV0000000436 ▼v 4 ▼f DV
056 ▼a 911.06 ▼2 5
090 ▼a 911.06 ▼b 한16ㅇ ▼c 4
110 ▼a 한국교육방송공사.
24510 ▼a 21세기에 다시 보는 한국근현대사 ▼h [DVD 녹화자료]. ▼n 제4강, ▼p 다시 보는 6.25전쟁 / ▼d EBS [편]
260 ▼a 서울: ▼b EBS, ▼c [2016]
300 ▼a DVD 1매(45분): ▼b 유성, 천연색; ▼c 12 cm
49010 ▼a (EBS) 역사특강.
500 ▼a 더빙: 한국어
500 ▼a 방영일: 2014.02.20
508 ▼a 제작진: 책임프로듀서, 김현주 ; 프로듀서, 권오민 ; 카메라감독, 여운길, 송대갑, 정호균, 임영환 ; 종합편집, 박창욱, 김남훈 ; 연출, 김혜정
5118 ▼a 강사: 허동현
520 ▼a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일요일 아침의 평화롭고 느긋한 공기는 멀리서 들려오는 몇 발의 포성에 찢겨나갔다. 6.25전쟁은 북한의 기습공격으로 시작됐다. 북한의 공격에 무방비 상태였던 남한은 속수무책으로 당했고, 전쟁 발발 3일 만에 서울을 빼앗긴데 이어 3개월 후에는 경상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한반도 전역이 북한의 점령 하에 들어가게 됐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휴전 논의가 시작되었다. 특히 1953년에는 국제 정세에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난다. 북한에 지원을 해 준 스탈린이 사망했고, 미국에서는 조기 종전을 공약으로 내건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에 당선된다. 휴전제의가 급물살을 타게 된 가운데, 이승만은 휴전에 대해 결사반대를 외치며 반공포로들을 대규모로 석방하는 승부수까지 띄운다. 결국 미국은 이승만을 달래기 위해, 이승만이 대통령에 취임한 이후 끊임없이 요구해왔던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며 마침내 6.25전쟁은 마침표를 찍는다. 전쟁은 끝났지만 한반도에는 깊은 상흔이 남았다. 남북 합쳐 200만 명이 넘는 인명이 스러졌고 국토는 피폐화됐으며 남과 북을 둘로 가른 38선은 냉전의 상징이 됐다. 우리 민족에게 씻을 수 없는 아픔을 남긴 지난 6.25전쟁을 돌아보며, 두 번 다시 이런 비극을 겪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모색해본다.
521 ▼a [전체 관람가]
538 ▼a DVD 플레이어; DVD 롬 장착pc
650 4 ▼a 역사
653 ▼a 21세기 ▼a 한국근현대사 ▼a 역사 ▼a 한국사 ▼a DVD
7001 ▼a 허동현
740 2 ▼a 다시 보는 6.25전쟁
830 0 ▼a EBS 역사특강
830 0 ▼a 이비에스 역사특강
910 0 ▼a EBS.
910 0 ▼a 이비에스.
910 0 ▼a EBS 교육방송.
9400 ▼a 이십일세기에 다시 보는 한국근현대사
9500 ▼b \29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