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한국문학강의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조동일1939-
서대석1942-
이혜순
김대행1943-
박희병1956-
오세영1942-
조남현1948-
표제/저자사항한국문학강의 /조동일 [외]공저
판사항개정판.
발행사항서울:길벗,2015
형태사항551 p.;23 cm
ISBN9788966188888
일반주기 공저자: 서대석, 이혜순, 김대행, 박희병, 오세영, 조남현
서지주기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찾아보기(p. 544-551) 수록
비통제주제어한국문학,한국문학사,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5677 810.9 조동68ㅎ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개정판 머리말・5

1부・총설 _ 조동일
1. 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10
2. 한국문학사의 전개・14
3. 한국문학의 특질・22

4. 한국문학 연구의 경과・26
5. 이 책의 구성과 내용・30

2부・구비문학 _ 서대석
1. 서론・34
2. 설화・38
3. 민요・71
4. 무가・88
5. 판소리・108
6. 민속극・118
...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조동일 
1939년 8월 9일 경북 영양군 일월면 주곡동 주실에서 태어났다. 영양초등학교에 다니다가 대구로 전학하고, 대구에서 초·중·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58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고, 1962년 불어불문학과 학사, 1966년 국어국문학과 학사, 1968년 국어국문학과 석사, 1976년 국어국문학과 박사가 되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그림을 그리고 문학 창작을 했다. 1958년 서울대학교 ≪대학신문≫ 제1회 신춘문예 현상 모집에서 소설 <산의 장송곡>과 수필 <채석장 근처>가 당선되었다. 1959년 무렵 정진규, 이유경, 주문돈 등과 함께 시 창작 동인회를 했다. 1965년에 임중빈, 주섭일, 이광훈 등과 함께 ≪비평 작업≫ 동인지를 내서 문학 활동을 시작하고, ≪사상계≫, ≪창작과 비평≫, ≪세대≫, ≪청맥≫ 등에서 비평문을 발표했다. 희곡을 써서 공연하기도 했다. 시·소설·희곡 등의 창작품을 모아 ≪조동일 창작집≫(지식산업사, 2009)을 냈다. 문학 창작에서 비평을 거쳐 연구로 방향을 돌렸다. ≪서사민요 연구≫(계명대학교출판부, 1970; 증보판 1979)를 낸 다음부터는 연구에 전념했다. 연구서가 60여 종이다. ≪한국 소설의 이론≫(지식산업사, 1977), ≪탈춤의 역사와 원리≫(홍성사, 1979; 기린원, 1988), ≪한국문학통사≫(전 6권, 지식산업사, 제1판 1982∼1988; 제4판 2005)에서 한국문학을 고찰하고, 동아시아문학으로, 다시 세계문학으로 범위를 넓혀 ≪동아시아문학사 비교론≫(서울대학교출판부, 1993),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전 3권, 지식산업사, 2001), ≪세계문학사의 전개≫(지식산업사, 2002)를 내놓았다.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지식산업사, 1996), ≪철학사와 문학사 둘인가 하나인가≫(지식산업사, 2000)에서는 문학과 철학의 관계를 고찰했다. ≪동아시아 문명론≫(지식산업사, 2010)도 중요한 저서이며, 일본어와 중국어로 번역되었고, 베트남어 번역이 진행 중이다. ≪인문학문의 사명≫(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학문론≫(지식산업사, 2012)에서는 학문을 논의했다. 근래에는 그림 그리기를 일삼고 작품 300점을 수록한 ≪山山水水 조동일 화집≫(지식산업사, 2014)을 출간했다.

오세영 
1942년 전남 영광에서 태어났다. 서울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1965년~1968년 박목월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소월시문학상, 만해상, 정지용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공초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국제 창작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미국 버클리대학교와 체코 찰스대학교의 초청 및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시집 『봄은 전쟁처럼』, 『적멸의 불빛』, 『벼랑의 꿈』, 『무명연시』, 『사랑의 저쪽』, 『시간의 쪽배』 등과 학술서적 『한국 현대시인 연구』, 『한국 현대시 분석적 읽기』, 『20세기 한국시인 연구』, 『한국 낭만주의시 연구』 등 수십 권이 있다. 2012년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로 있다.

박희병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경성대학교 한문학과 교수와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전기소설의 미학](돌베개, 1997)으로 1998년 제3회 성산학술상을 수상했으며 [한국의 생태사상](돌베개, 1999)으로 제40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인문과학 부문 저작상을 수상하였다. 그 밖의 저서로는 [한국 고전인물전 연구](한길사), [선인들의 공부법](창작과비평사) 등이 있으며, [나의 아버지 박지원](돌베개), [베트남의 기이한 옛이야기], [베트남의 신화와 전설]을 비롯한 역서와 논문 다수가 있다. 

서대석
1942년 경기도 양평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계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정년퇴직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고 한국구비문학회장, 한국고전문학회장,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구비문학개설"(공저), "한국무가의 연구",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한국신화의 연구", "한국문학강의"(공저), "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연구", "한중소화의 비교", "무가문학의 세계" 등이 있다. 

조남현 
1948년 인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지식인상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계간지 ≪소설과 사회≫와 월간지 ≪문학사상≫의 주간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소설에 나타난 소리의 사상성과 도식성>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한국 근대 지식인문학과 소설의 갈등 양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굵직한 결과물을 내놓았다. 그 밖에도 한국 문학사에서 조명받지 못한 작가를 발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평론집으로는 ≪문학과 정신사적 자취≫, ≪지성의 통풍을 위한 문학≫, ≪삶과 문학적 인식≫, ≪우리 소설의 판과 틀≫, ≪풀이에서 매김으로≫, ≪한국문학의 저변≫, ≪한국문학의 사실과 가치≫, ≪1990년대 문학의 담론≫, ≪비평의 자리≫ 등이 있다. 연구서로는 ≪한국 지식인소설 연구≫, ≪한국 현대문학의 자계≫, ≪한국 현대소설 연구≫, ≪한국 소설과 갈등≫, ≪한국 현대소설의 해부≫, ≪한국 현대소설 유형론 연구≫, ≪한국 현대문학 사상 연구≫, ≪한국 현대문학 사상 논구≫, ≪한국 현대문학 사상 탐구≫, ≪그들의 문학과 생애, 이기영≫, ≪소설신론≫, ≪한국 현대문학 사상의 발견≫, ≪한국 현대 작가의 시야≫, ≪한국 현대문학 사상의 발견≫, ≪한국 현대소설사 1(1890∼1930)≫, ≪한국 현대소설사 2(1930∼1945)≫, ≪한국 문학잡지 사상사≫ 등이 있다. 그 밖에 한국의 문학비평론, 창작 방법론에 대한 논문을 여러 편 썼다. 연암문학상, 현대문학상, 김환태 평론상, 대산문학상, 대한민국학술원상 등을 수상했다.

이혜순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문학과와 미국 일리노이대학(University of Illinois)에서 각각 국문학 석사와 비교문학 석사를, 중국 대만 국립대만사범대학에서 중국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국문학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 이화여대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고전문학회 회장, 한국고전여성문학회 회장, 한국한문학회 회장,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를 역임했고, 한국일보 출판문화상, 이화학술상, 우호학술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고려전기 한문학사』, 『조선통신사의 문학』, 『조선조후기 여성지성사』, 『전통과 수용-한국고전문학과 해외교류』 등이 있다.

김대행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
숭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저서로 《한국시가 구조 연구》, 《한국시의 전통연구》, 《시조유형론》, 《시가 시학 연구》, 《우리 시의 틀》, 《한국의 고전시가》, 《통일 이후의 문학교육》 등이 있음.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