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머리말・5

1부・총설 _ 조동일
1. 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10
2. 한국문학사의 전개・14
3. 한국문학의 특질・22

4. 한국문학 연구의 경과・26
5. 이 책의 구성과 내용・30

2부・구비문학 _ 서대석
1. 서론・34
2. 설화・38
3. 민요・71
4. 무가・88
5. 판소리・108
6. 민속극・118
7. 구비문학에 반영된 향유층의 의식세계・127

3부・한문학 _ 이혜순
1. 서론・134
2. 한시의 시대별 전개와 특성・137
3. 산문의 유형별 양상・163
4. 여성 한문학의 세계・190
5. 개화기 한문학・199
6. 결론・206

4부・고전시가 _ 김대행
1. 서론・212
2. 상고시가・217
3. 향가・221
4. 고려가요・230
5. 조선시대 시가・241
6. 결론・278

5부・고전산문 _ 박희병
1. 서론・286
2. 국문소설의 형성과 발전・292
3. 판소리계 소설・312
4. 가문소설・323
5. 소설 이외의 산문문학・333
6. 결론・342

6부・근대시가 _ 오세영
1. 근대시의 출발・350
2. 개화기의 시가・353
3. 1920년대의 시・361
4. 1930년대의 시・375
5. 광복과 한국전쟁 시기・391
6. 4·19혁명과 1960년대・406
7. 권위주의 정치하의 1970, 80년대・411
8. 권위주의 정치의 청산과 1990년대・435
근대시가 작가 소개・465

7부・근대산문 _ 조남현
1. 서론・488
2. 개화기 소설・491
3. 1920, 30년대의 소설・500
4. 광복 이후의 소설・518
5. 희곡・525
6. 비평과 수필・531

인명 찾아보기・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