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조선시대의 외국어교육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정광1940-
표제/저자사항조선시대의 외국어교육 /정광 지음
발행사항파주:김영사,2014
형태사항535 p.:삽도;22 cm
ISBN9788934969266
서지주기참고문헌(p. 505-515)과 찾아보기 수록
비통제주제어조선시대,외국어교육,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5453 707 정15ㅈ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2 EM006551 707 정15ㅈ c.2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조선시대 학교 교육과 역관 교육
1. 한반도에서의 학교 교육과 한자 학습 
2. 고려 말 조선 초의 역관 교육 
3. 조선시대의 역학과 이학 
4. 조선시대 역관의 외국어 교육 

제2장. 사역원의 설치와 외국어 교육
1. 사역원의 연원 
2. 사역원의 조직과 그 변천 
3. 역학서의 편찬과 외국어 교재...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정광

세계 언어학계가 인정하고 경의를 표하는 정광 교수는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사역원 역학서의 표기법 연구>로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사역원 왜학 연구>로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수여하는 국어학 분야의 제1호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로 교편을 잡고 있다가 정년퇴임하였으며, 현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객원교수, 일본 교토대학 초빙 외국인학자, 일본 동경외국어대학 초청교수, 일본 간사이대학 초청연구원, 일본 와세다대학 교환연구원, 미국 일리노이대학 언어학과 강의 초청, 중국 북경중앙민족대학교 초빙강사 등 해외에서도 활발한 강의와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김영사, 2014),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역락출판사, 2012), 『삼국시대 한반도의 언어 연구』(박문사, 2011), 『노박집람 역주』(태학사, 2011), 『몽고자운 연구』(박문사, 2009), 『역주 원본 노걸대』(김영사, 2004), 『역학서 연구』(제이앤씨, 2002) 등 다수가 있으며, 『蒙古字韻 硏究』(北京;民族出版社, 2013), 『朝鮮吏讀辭典』(東京;ペン·インタプライス, 2006), 『老乞大: 朝鮮中世の中國語會話讀本』(東京;平凡社, 2002), 『原本老乞大』(北京;外語敎學與硏究出版社, 2002), 『原刊老乞大硏究』(北京;外語敎學與硏究出版社, 2000) 등을 출간하여 전 세계 중국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譯學書硏究の諸問題”(일본 조선학회 제170호, 1990), “『노박집람』과 『노걸대』·『박통사』의 舊本”(진단학보 제89호, 2000),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朝鮮半島での外國語敎育とその敎材: 司譯院の設置とその外國語敎育を中心に”(<譯學과 譯學書> 創刊號, 2009), “훈민정음 中聲과 파스파 문자의 모음자”(『국어학』 제56호, 2009), “『월인석보』의 舊卷과 훈민정음의 언해본: 正統 12년 佛日寺판 『월인석보』 옥책을 중심으로”(『국어학』 제68호, 2013) 등 국내외 250여 편이 있다. “薩摩苗代川傳來の朝鮮歌謠”(일명 ‘오ㄴㆍ리 연구’, 일본 新村出記念財團, 1990, 京都), “韓國詩歌의 韻律硏究試論”(서울대 어학연구소 제7-2호, 1975) 등 문학 연구에서도 화제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어학회, 한국이중언어학회, 국어사자료학회, 한국알타이학회, 한국구결학회 등의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국제 역학서학회, 국제고려학회(ISKS)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고문으로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