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조선시대 학교 교육과 역관 교육
1. 한반도에서의 학교 교육과 한자 학습
2. 고려 말 조선 초의 역관 교육
3. 조선시대의 역학과 이학
4. 조선시대 역관의 외국어 교육

제2장. 사역원의 설치와 외국어 교육
1. 사역원의 연원
2. 사역원의 조직과 그 변천
3. 역학서의 편찬과 외국어 교재
4. 사역원의 외국어 교육과 그 평가

제3장. 중국어 교육-한학
1. 한어 교육의 필요성
2. 한학서의 편찬과 그 변천
3. 한학서 <노걸대>와 <박통사>
4. 역과한학과 한어 시험
5. 한어 역관 최세진

제4장. 몽고어 교육-몽학
1. 몽고어와 몽고 문자
2. 몽학서의 편찬과 그 변천
3. 역과몽학과 몽고어 시험

제5장. 일본어 교육-왜학
1. 왜학서의 편찬과 그 변천
2. 왜학서 <첩해신어>의 등장
3. 왜학의 일본 가나문자 교육
4. <첩해신어>의 개수와 중간
5. <이려파>의 내용과 단행본
6. 역과왜학과 일본어 시험

제6장. 여진어와 만주어 교육-여진학과 청학
1. 여진학과 청학
2. 청학서의 만주어
3. 역과청학과 만주어 시험

제7장. 맺음말

참고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