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매호 유고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진화
변종현
윤승준
윤재환
장희성
표제/저자사항매호 유고/진화 지음,변종현,윤승준,윤재환 [공] 옮김,장희성 교점
발행사항서울:한국고전번역원,2013
형태사항283 p. ;24 cm
총서사항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총서부출표목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부분표제梅湖遺稿
ISBN9788928402366
일반주기 이 책의 번역대본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한국문집총간 2집 소재 매호유고(梅湖遺稿)으로 하였음.
비통제주제어한문문집,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0572 810.819 진95ㅁ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일러두기 ‥ 4
해제 ‥ 11
매호 진화의 생애와 시의 특징|변종현
매호집 서문 梅湖集序|황경원 ‥ 27
매호유고 서문 梅湖遺稿序|남태보 ‥ 31
매호유고 서문 梅湖遺稿序|이영유 ‥ 34
매호공 소전 梅湖公小傳 ‥ 39



매호유고
오언절구 五言絶句
사명을 받들어 금나라에 들어가며 奉使入金 ‥ 47
한림 김극기를 그리워하며 憶金翰林...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진화(陳澕)
?~?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여양(驪陽), 호는 매호(梅湖)이다. 참지정사 진준(陳俊)의 손자이자, 추밀부사 진광현(陳光賢)의 아들이다. 1200년(신종3) 진사시에 급제하여 한림에 들어갔다. 1201년 내시(內侍)에 임명되었다. 1209년(희종5) 국학 학정(國學學正)이 되었으며, 1213년(강종2)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되었다. 1215년(고종2) 최충헌(崔忠獻)이 관각(館閣)의 여러 신하를 불러 40여 운(韻)의 시를 짓게 하였는데 이규보에 이어 차석에 올랐다. 고종 연간에 일찍이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금(金)나라에 다녀왔고, 귀국하여 옥당으로 옮겨 지제고(知制誥)를 겸하였다. 이후 정언․보궐을 거쳐, 우사간으로 지공주사(知公州事)가 되었다. 임지에서 죽었다. 시문(詩文)에 능하고 특히 글을 빨리 지어 〈한림별곡(翰林別曲)〉에서 이규보(李奎報)와 함께 ‘쌍운주필(雙韻走筆)’로 일컬어졌다. 저서로 《매호유고(梅湖遺稿)》가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