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 11
매호 진화의 생애와 시의 특징|변종현
매호집 서문 梅湖集序|황경원 ‥ 27
매호유고 서문 梅湖遺稿序|남태보 ‥ 31
매호유고 서문 梅湖遺稿序|이영유 ‥ 34
매호공 소전 梅湖公小傳 ‥ 39



매호유고
오언절구 五言絶句
사명을 받들어 금나라에 들어가며 奉使入金 ‥ 47
한림 김극기를 그리워하며 憶金翰林 克己 ‥ 50

칠언절구 七言絶句
봄 저물어 가는데 산사에서 쓰다 春.題山寺 ‥ 51
버들 柳 ‥ 54
오경 밤에 五夜 ‥ 56
오대산에서 노닐며 遊五臺山 ‥ 57
영곡사 靈鵠寺 ‥ 60
들길을 걷다가 野步 ‥ 61
진중자 陳仲子 ‥ 63
해당화 2수 海棠 二首 ‥ 64
또 又 ‥ 65
해주를 지나며 過海州 ‥ 66
이.유 제공이 추밀원부사 임경겸의 침실 병풍에 쓴 시 4수에 화답함
和李兪諸公題任副樞 景謙 寢屛四詠 ‥ 67
열자가 바람을 타고 列子御風 ‥ 67
자유가 대규를 찾아가 子猷訪戴 ‥ 68
도잠이 술을 거르며 陶潛.酒 ‥ 69
반랑이 거처를 옮김 潘.移居 ‥ 69
봄날 김 수재에게 화답함 2수 春日和金秀才 二首 ‥ 72
또 又 ‥ 73
광녕부의 십삼산을 읊다 詠廣寧府十三山 ‥ 75
이춘경의 시를 읽고 讀李春卿詩 ‥ 77
얽혀 서린 소나무 그림 부채에 쓰다 題.扇蟠松 ‥ 79

오언율시 五言律詩
가을날 감회를 쓰다 秋日書懷 ‥ 81
〈아침에 수직(守直)하면서〉라는 시의 운을 빌려 次韻朝守 ‥ 83
저녁에 수직하며 夕守 ‥ 84

칠언율시 七言律詩
송도 松都 ‥ 85
상춘정에 핀 옥예화 賞春亭玉蘂花 ‥ 88
월계사의 저녁 경치 月桂寺.眺 ‥ 90
딸을 낳은 것을 축하하는 이유지의 시에 차운하다 2수
次李由之賀生女 二首 ‥ 92
또 又 ‥ 94
한가을 비 온 뒤에 中秋雨後 ‥ 95
해안사에서 솔가지를 구해 와 從海安寺乞松枝 ‥ 96
매화 梅花 ‥ 97
강종 대행 대왕에 대한 만사 칠언율시 산구 康宗大行挽 七律散句 ‥ 98
《대장경》을 전경하고 소재도량을 연 뒤 쓴 부처의 공덕을 찬양하는 시
轉大藏經消災道場音讚詩 ‥ 99
강가에서 江上 ‥ 102
제목을 잃다 失題 ‥ 104

오언배율 五言排律
숙직하며 공들과 운을 정해 부채를 읊다 直廬與諸公占韻賦扇 ‥ 107

칠언배율 七言排律
승제 금의에게 올림 2수 上琴承制 儀 二首 ‥ 116
또 又 ‥ 118

오언고시 五言古詩
구양수(歐陽脩).매요신(梅堯臣)의 감흥시에 화운함 4수
追和歐梅感興 四首 ‥ 119
기이 其二 ‥ 120
기삼 其三 ‥ 121
기사 其四 ‥ 122

칠언고시 七言古詩
봉선전에서 초례를 행하는 어가를 호종하여 扈駕奉先殿夜醮 ‥ 124
송적의 〈팔경도〉 宋迪八景圖 ‥ 125
모래톱에 내려앉은 기러기 平沙落雁 ‥ 125
멀리 포구로 돌아오는 돛단배 遠浦歸帆 ‥ 126
어촌의 지는 해 漁村落照 ‥ 126
남기 갠 산마을 山市晴嵐 ‥ 127
동정호의 가을달 洞庭秋月 ‥ 127
소상강의 밤비 瀟湘夜雨 ‥ 128
안개 낀 사찰의 저녁 종소리 煙寺暮鍾 ‥ 129
강 하늘의 저녁눈 江天暮雪 ‥ 129
운암사에서 쓰다 書雲巖寺 ‥ 131
금나라 통주로 사신 간 9일에 使金通州九日 ‥ 132
금명전의 석창포 金明殿石菖蒲 ‥ 134
도원가 桃源歌 ‥ 136
순채 최 산인이 글을 보내 시를 청하다 蓴菜崔山人寄書請賦 ‥ 138
달밤에 사관 이윤보와 함께 〈유월궁〉을 짓다
月夜與李史館允甫同賦遊月宮篇 ‥ 141

매호유고 부록
사실 事實 ‥ 145
수창 酬唱
동년 진식의 아우 화가 아버지를 따라 동경에 가서 형을 생각하고 시를 보내
왔는데, 진식을 대신해서 화답하다 2수 代陳同年 湜 和舍弟 . 隨父之東京憶
兄見寄 二首 ‥ 150
10월 5일 진화가 방문하여 유숙하였으므로 술자리를 베풀고 소식의 시운을
써서 각각 짓다 十月五日陳 . 見訪留宿置酒用蘇軾詩各賦 ‥ 154
며칠 뒤에 진군이 화답하여 왔기에 다시 차운하여 답하다 2수
後數日陳君見和復次韻答之 二首 ‥ 155
진군이 다시 화답하였으므로 또 차운하여 주다 2수
陳君復和又次韻贈之 二首 ‥ 157
밤에 진화의 집에서 자며 크게 취하여 벽 위에 쓰다
夜宿陳 . 家大醉書壁上 ‥ 159
진군이 화답하기에 다시 차운하여 답하다 陳君見和復次韻答之 ‥ 162
진군이 다시 화답하였으므로 차운하여 주다 병서
陳君復和次韻贈之 幷序 ‥ 165
동년 윤의ㆍ진식과 진화가 찾아왔으므로 유 빈객의 시운에 따라 각각 짓다
尹同年 儀 陳同年 湜 陳 . 見訪用劉賓客詩韻各賦 ‥ 168
학정 진화의 〈거문고 소리를 듣고〉에 차운함 2수
次韻陳學正 . 聞琴 二首 ‥ 169
한림 진화가 시장가에 있는 묘정자대은루를 두고 지은 시에 차운하여
次韻陳翰林題苗正字大隱樓在市邊 ‥ 171
계유년(1213, 강종2) 맹춘 17일에 한림 진화와 밤에 수재 임원간의 집에서
술을 마시고 만취하였다. 임군이 장편 율시를 써 보이기를 청하기에 내가
진공을 시켜 운을 부르게 하고 시를 지었는데, 글이 한 자의 정정도 없었고
한 식경도 경과하지 않았다 癸酉孟春十七日與陳翰林 . 夜飮林秀才元幹家
大醉林君請觀長篇律詩走筆予使陳公唱韻賦之文不加點不容一瞥 ‥ 172
임군이 또 반송을 그린 병풍을 가지고 고시를 써 주기를 청하기에, 다시
진군을 시켜 운을 부르게 하여 시를 짓다
林君又以.盤松屛風請古詩走筆復使陳君唱韻賦之 ‥ 176
진화의 집에서 술을 마시고 꽃을 감상하다가 취한 뒤에 붓을 달려 쓰다
陳 . 家置酒賞花醉後走筆 ‥ 177

평품 評品 ‥ 179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오재순 ‥ 187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민종현 ‥ 190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최수옹 ‥ 193
매호유고 발문 梅湖遺稿跋|진정걸 ‥ 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