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근재집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안축
서정화
안득용
안세현
김혜원
표제/저자사항근재집/안축 지음서정화,안득용,안세현 [공]옮김;김혜원 교점.
발행사항서울:한국고전번역원,2013
형태사항460 p. ;24 cm
총서사항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총서부출표목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부분표제謹齋集
ISBN9788928402250
일반주기 이 책의 번역대본은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한국문집총간 2집 소재 근재집(謹齋集)으로 하였음. 원문은 조판하고 교감표점하여 합본하였음
권말에 "謹齋集" 수록
비통제주제어한문문집,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0570 810.819 안85ㄱ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차례
일러두기 ‥ 4
해제 ‥ 17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관동을 노래하다|서정화
근재 선생 세계도 謹齋先生世系圖 ‥ 41


죽계 원류도 竹溪源流圖 ‥ 42
《관동와주》 서문 關東瓦注序|이제현 ‥ 43
근재집 제1권
시 詩
천력 3년 5월에 강릉도 존무사의 명을 받았다. 이달 30일에 송경을 출발하여
백령역에서 묵었다. 한밤중에 비...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1282년(충렬왕8)~1348년(충목왕4).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이다. 1307년(충렬왕33) 성균시(成均試)에 급제하여 금주 사록(金州司錄),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의 검열(檢閱)과 수찬(修撰)을 역임하였고, 다시 향시(鄕試)에 급제하여 사헌 규정(司憲糾正)이 되었다. 1324년(충숙왕11) 원나라 제과(制科)에 급제하였다. 요양로 개주 판관(遼陽路蓋州判官)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당시 원나라에 억류되어 있던 충숙왕을 위해 변호하는 글을 원나라 조정에 올린 일로, 귀국하여 성균 악정(成均樂正)이 되었다. 이후 전법 총랑(典法摠郞)․판도 총랑(版圖摠郞)․군부 총랑(軍簿摠郞)․전리 총랑(典理摠郞) 등을 거쳐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가 되었다. 1330년(충숙왕17) 강릉도 존무사(江陵道存撫使)에 제수되었다. 강릉도 존무사 재임 시에 시문집 《관동와주(關東瓦注)》를 지었다. 1332년 충숙왕이 복위하자, 충혜왕의 총애를 받은 인물로 지목되어 파직되었다. 1339년 충혜왕이 복위한 뒤 전법 판서에 제수되고, 동지공거(同知貢擧)로 이공수(李公遂) 등 33인을 선발하였다. 이후 감찰대부(監察大夫), 상주 목사(尙州牧使), 전법 판서(典法判書), 밀직부사(密直副使), 정당문학(政堂文學),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등을 역임하고 1345년(충목왕1) 찬성사 우문관대제학 감춘추관사(贊成事右文館大提學監春秋館事)가 되었다. 이제현(李齊賢) 등과 함께 민지(閔漬)의 《편년강목(編年綱目)》을 증수(增修)하고, 충렬왕․충선왕․충숙왕 3조(朝)의 실록(實錄)을 편수하였다. 1347년 판정치도감사(判整治都監事)가 되었고, 흥녕군(興寧君)에 봉해졌다. 1348년(충목왕4)에 치사(致仕)하였다. 1544년(중종39) 풍기 군수(豐基郡守) 주세붕(周世鵬)에 의해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추향(追享)되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