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일러두기 ‥ 4
해제 ‥ 17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관동을 노래하다|서정화
근재 선생 세계도 謹齋先生世系圖 ‥ 41


죽계 원류도 竹溪源流圖 ‥ 42
《관동와주》 서문 關東瓦注序|이제현 ‥ 43
근재집 제1권
시 詩
천력 3년 5월에 강릉도 존무사의 명을 받았다. 이달 30일에 송경을 출발하여
백령역에서 묵었다. 한밤중에 비가 내려 감회가 일다 天曆三年五月受江陵
道存撫使之命是月三十日發松京宿白嶺驛夜半雨作有懷 ‥ 47
철령을 지나다 過鐵嶺 ‥ 48
6월 3일 철령관에 들어가 화주를 바라보며 짓다
六月三日入鐵嶺關望和州作 ‥ 49
화주 본영의 시에 차운하다 次和州本營詩韻 ‥ 50
양주 공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襄州公館詩韻 ‥ 51

안창역 정자에 있는 허 정언의 시에 차운하다 次安昌驛亭許正言詩韻 ‥ 52
흥부역 정자의 시에 차운하다 次興富驛亭詩韻 ‥ 53
삼척 서루 팔영 三陟西樓八詠 ‥ 54
대숲에 감춰진 옛 절 竹藏古寺 ‥ 54
바위가 끌어당긴 맑은 못 巖控淸潭 ‥ 54
산에 기댄 촌집 依山村舍 ‥ 55
물에 누운 나무다리 臥水木橋 ‥ 55
소 등에 탄 목동 牛背牧童 ‥ 55
밭두둑으로 들밥 내는 부인 壟頭.婦 ‥ 56
물가에 임해 고기를 세다 臨流數魚 ‥ 56
담장 너머로 중을 부르다 隔墻呼僧 ‥ 56
평해 공관 뒤편 정자의 시에 차운하다 次平海公館後亭詩韻 ‥ 57
장 수재가 보낸 시에 차운하다 次韻張秀才見贈 ‥ 58
매화를 읊다 詠梅 ‥ 59
선유담을 지나다 過仙遊潭 ‥ 60
부질없이 짓다 .成 ‥ 61
허 정언이 부쳐 온 시에 차운하다 次韻許正言見寄 ‥ 62
큰비를 탄식하다 大雨歎 ‥ 64
화주에서 희끗한 머리칼을 처음 보고 느낌이 일다
在和州始見二毛有感 ‥ 65
치통 齒痛 ‥ 66
가을밤 秋夜 ‥ 67
산삼을 탄식하다 蔘歎 ‥ 69

국도시 병서 國島詩 幷序 ‥ 71
화주의 응방인이 매를 잡아 나에게 보이다 和州鷹坊人羅鷹示余 ‥ 74
화주 은자가 포도주를 가지고 와서 나에게 권하다
葡萄酒和州隱者持以勸余 ‥ 75
송어 松魚 ‥ 76
송이버섯 松菌 ‥ 77
왕소군 王昭君 ‥ 78
꿈에 서액에서 함께 근무하던 여러 공을 보다 夢見西掖同舍諸賢 ‥ 80
범 승상의 〈맥주도〉 2수 范丞相麥舟圖 二首 ‥ 81
백안 승상이 문정공 의전 댁을 방문한 그림
伯.丞相訪文正公義田宅圖 ‥ 82
죽도시 2수 병서 竹島詩 二首 幷序 ‥ 83
원수대시 병서 元帥臺詩 幷序 ‥ 86
동산현 관란정 시에 차운하다 次洞山縣觀瀾亭詩韻 ‥ 87
9월 13일 향사를 맞이하러 북쪽으로 가던 도중에 즉석에서 짓다
九月十三日因迎香使北行途中卽事 ‥ 88
총석정의 시에 차운하다 次叢石亭詩韻 ‥ 89
총석정에서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며 짓다 叢石亭宴使臣有作 ‥ 92
천도시 병서 穿島詩 幷序 ‥ 94
금란굴시 병서 金.窟詩 幷序 ‥ 96
등주 옛 성에서 옛날을 생각하다 登州古城懷古 ‥ 98
고성으로 가는 길에 잠시 쉬다 高城道中小歇 ‥ 99
금강산 金剛山 ‥ 100
윤 대언을 축하하다 賀尹代言 ‥ 101

앞의 운을 사용하여 윤 정승에게 바치다 用前韻獻尹政丞 ‥ 102
익재 상국을 축하하는 시 병서 賀益齋相國詩 幷序 ‥ 104
지순 원년 10월 8일 왕명을 받들어 개경에 가려고 화주를 출발하는 말 위에
서 우연히 짓다 至順元年十月始八日承王命赴京發和州馬上偶作 ‥ 108
이날 고산역을 지나다 是日過孤山驛 ‥ 109
이날 철령을 지나다 是日過鐵嶺 ‥ 110
은계역에 묵다 宿銀溪驛 ‥ 111
9일 다림역을 지나다 九日過多林驛 ‥ 112
송간역을 지나다 過松澗驛 ‥ 113
10일 임단역에 묵다 十日宿林丹驛 ‥ 114
풍림역을 지나다 過楓林驛 ‥ 115
용담역에 묵다 宿龍潭驛 ‥ 116
11일 왕계역을 지나다 十一日過王溪驛 ‥ 117
징파도를 지나다 過澄波渡 ‥ 118
백령역에 묵다 宿白嶺驛 ‥ 119
도원역을 지나다 過桃源驛 ‥ 120
섣달 그믐날 밤에 除夜 ‥ 121
정월 초하루에 元日 ‥ 122
통주 객사의 시에 차운하다 次通州客舍詩韻 ‥ 123
해당화 海棠 ‥ 124
관목역 정자에 제하다 題灌木驛亭 ‥ 125
영랑포에서 배를 띄우다 永郞浦泛舟 ‥ 126
운암현 정자에서 노닐다 遊雲巖縣亭 ‥ 127

차운하여 장 수재의 유거에 제하여 부치다 次韻寄題張秀才幽居 ‥ 128
5월 25일 화주에서 남쪽으로 가다가 중간에 비를 만나 말 위에서 짓다
五月二十五日自和州南行中途遇雨馬上有作 ‥ 129
이날 비에 막혀 흡곡에서 유숙하다 是日阻雨留宿.谷 ‥ 130
흡곡 객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谷客館詩韻 ‥ 131
비에 막혀 통주에 머물다가 비가 개어 고성을 향하며 태수에게 지어 주다
阻雨留通州雨晴向高城有作贈太守 ‥ 132
이날 말 위에서 즉시 짓다 是日馬上卽事 ‥ 133
옹천길 瓮遷路 ‥ 134
고성 객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高城客館詩韻 ‥ 136
삼일포시 병서 三日浦詩 幷序 ‥ 137
삼일포 시에 또 차운하다 又次三日浦詩韻 ‥ 140
29일 말 위에서 즉시 짓다 二十九日馬上卽事 ‥ 141
간성 객관의 시에 차운하다 次韻杆城客館詩 ‥ 142
흰 갈매기 白鷗 ‥ 143
허 헌납의 시에 차운하여 청간역 만경대에 제하다 2수
題淸澗驛萬景臺次許獻納詩韻 二首 ‥ 144
염호 鹽戶 ‥ 145
말산 당두가 붉은 자두를 보내 주어 받들어 답하다
奉答末山堂頭惠朱李 ‥ 148
6월 13일 진주 남강에서 배를 띄우다 六月十三日眞珠南江泛舟 ‥ 149
6월 17일 밤에 삼척 서루에 앉아 六月十七日三陟西樓夜坐 ‥ 150
취운정 翠雲亭 ‥ 151
월송정 시에 차운하다 次越松亭詩韻 ‥ 152

단양 북루의 시에 제하여 부치다 병서 寄題丹陽北樓詩 幷序 ‥ 154
평해 망사정에 제하다 題平海望.亭 ‥ 157
차운하여 남 동년의 서루에 제하다 次韻題南同年書樓 ‥ 158
7월 1일 울진에서 삼척으로 가는 길에 비를 만나다
七月一日自蔚珍向三陟路上遇雨 ‥ 159
정선 공관에서 조 원수의 시에 차운하다 次旌善公館趙元帥詩韻 ‥ 160
정선 현판 위의 시에 차운하다 次旌善板上韻 ‥ 161
모산 최대현에게 주다 贈母山崔大賢 ‥ 163
임영 공관 동헌에 있는 시에 차운하다 次臨瀛公館東軒詩韻 ‥ 164
한송정에 제하다 題寒松亭 ‥ 165
어머님과 이별하다 別母 ‥ 167
태백산에 오르다 登太白山 ‥ 168
7월의 빗속에 강릉부를 출발하면서 2수 七月雨中發江陵府 二首 ‥ 169
양주에 도착하여 통주 태수에게 부치다 到襄州寄通州太守 ‥ 170
8월 4일 북쪽으로 가서 영랑호에 배를 띄우다
八月始四日北行泛永郞湖 ‥ 171
통주 태수의 이별시에 받들어 답하다 奉答通州太守贈別詩 ‥ 172
다시 삼일포에 노닐며 현판 위의 시에 차운하다 再遊三日浦次板上詩 ‥ 173
화주에서 삼가 비목을 보고 대숙부 질재 윤원개 상국에게 부쳐 드리다
在和州伏見批目寄獻質齋尹大叔相國 元凱 ‥ 174
윤 시중을 축하하다 賀尹侍中 ‥ 175
김 칠재를 축하하다 賀金七宰 ‥ 176
이 정당을 축하하다 賀李政堂 ‥ 177
8월에 서울로 가려는데 그대로 가을 제사를 행하라는 교지가 있어 남쪽으로

가다가 길에서 짓다 八月將赴京又有旨仍行秋祭南行路上有作 ‥ 178
경포호에 배를 띄우다 鏡浦泛舟 ‥ 179
밤에 앉아 기러기 소리를 듣다 夜坐聞鴻 ‥ 180
낙산시에 차운하다 次洛山詩韻 ‥ 181
지순 2년 9월 17일 임기를 마치고 서울로 가다가 순충관을 지나다
至順二年九月十七日罷任如京過順忠關 ‥ 182
도원역을 지나다 過桃源驛 ‥ 183
송간역을 지나다 過松澗驛 ‥ 184
기 記
경포대에 새로 지은 정자에 부친 기문 鏡浦新亭記 ‥ 185
양양에 새로 지은 학교에 부친 기문 襄陽新學記 ‥ 189
취운정에 부친 기문 翠雲亭記 ‥ 191
임영 공관의 묵죽병풍에 부친 기문 臨瀛公館墨竹屛記 ‥ 193
《관동록》 후제 關東錄後題|최해 ‥ 196
발문 跋|정양생 ‥ 197
근재집 제2권 보유 補遺
시 詩
기거주 이인복의 영친연 자리에서 짓다 5수 병인
李起居注 仁復 榮親席上作 五首 幷引 ‥ 201

사시홍 四時紅 ‥ 203
소만 小蠻 ‥ 203
홍진 紅眞 ‥ 204
만월 滿月 ‥ 204
금화 金花 ‥ 205
안부 백문보께 올리는 노래 8수 병서인 白文寶按部上謠 八首 幷序引 ‥ 206
상산 낙동강 商山洛東江 ‥ 209
영가 문화산 永嘉文華山 ‥ 210
월성 첨성대 月城瞻星臺 ‥ 210
영해 관어대 寧海觀魚臺 ‥ 211
동래 적취헌 東萊積翠軒 ‥ 211
김해 칠점산 金海七點山 ‥ 212
주포 월영대 珠浦月影臺 ‥ 212
진양 촉석루 晉陽矗石樓 ‥ 213
같은 안렴사에게 올리는 기생 노래 10수 병인 同使上妓謠 十首 幷引 ‥ 215
서시 西施 ‥ 215
녹주 綠珠 ‥ 216
무아 巫娥 ‥ 217
제비가 옥경을 찾아오다 燕尋玉京 ‥ 217
진진 眞眞 ‥ 218
사시홍 四時紅 ‥ 219
신월 新月 ‥ 219
만월과 상산월 滿月商山月 ‥ 219

금련과 옥련 金蓮玉蓮 ‥ 220
낙중선 洛中仙 ‥ 220
이중보가 원나라 조정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 送李中父還朝 ‥ 221
가사 歌辭
관동별곡 關東別曲 ‥ 224
죽계별곡 竹溪別曲 ‥ 231
표 表
색목인과 동등하게 대우해 주기를 청하는 표문 請同色目表 ‥ 235
기 記
순흥의 봉서루를 다시 짓고서 그에 부친 기문 順興鳳棲樓重營記 ‥ 238
상주의 객관을 다시 짓고서 그에 부친 기문 尙州客館重營記 ‥ 244
발문 跋|안숭선 ‥ 248
근재집 제3권 증보 增補
시 詩
혹서 酷熱 ‥ 255
고성에서 읊조리다 高城題詠 ‥ 256
정선에서 읊조리다 旌善題詠 ‥ 257

책 策
제책 태정 갑자년 制策 泰定甲子 ‥ 258
기 記
간장암에 부친 기문 看藏菴記 ‥ 268
묘지명 墓誌銘
고려국 광정대부 검교첨의찬성사 겸 판전의시사 상호군 안공 묘지명 병서
高麗國匡靖大夫檢校僉議贊成事兼判典儀寺事上護軍安公墓誌銘 幷序 ‥ 270
발문 跋|안경운 ‥ 274
시 詩
광원루운 廣遠樓韻 ‥ 276
자비령운 慈悲嶺韻 ‥ 277
근재집 제4권
부록 附錄
상주 목사로 부임하는 안 대부를 보내는 서문 送安大夫赴尙州牧序 ‥ 281
만 輓 ‥ 284
본전 本傳 ‥ 285
묘지명 병서 墓誌銘 幷序 ‥ 288

소수서원에 추향할 때 안 문성공께 고한 글
紹修書院追享時告安文成公文 ‥ 293
봉안문 奉安文 ‥ 295
방백 심통원께 올리는 편지 與沈方伯 通源 書 ‥ 296
봉잠서원 창건 시 태학에 아뢰는 글 鳳岑書院營建時抵大學文 ‥ 304
서원 창건 축문 開基祝文 ‥ 308
사현정비음기 四賢井碑陰記 ‥ 309
집록 集錄 ‥ 311
근재집의 발문 謹齋集跋|정재규 ‥ 317
근재집의 발문 謹齋集跋|조정규 ‥ 320
근재집의 발문 謹齋集跋|안유상 ‥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