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 2 , 앎과 삶의 공간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봉렬
이인미
표제/저자사항(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김봉렬 글,이인미 사진.
발행사항파주:돌베개,2006(2012 5쇄).
형태사항414 p. :사진, 지도;24 cm
ISBN8971992344
8971992328(세트)
일반주기 권말부록: 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 도면 목록
색인 수록
비통제주제어한국건축,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0330 610.911 김봉294ㅎ v.2 문화예술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개정판 서문 - 참회와 사랑의 고백 
초판 서문 - 깨달음과 변화의 영원함 



1 폐허 속의 상상력, - 미륵대원 

상상력의 원천, 건축적 폐허 | 하늘재 밑의 석굴사원 | 자연에 대한 순응과 인공적 변형 
상상적 복원 | 주변의 폐허들 

2 소리와 그늘과 시의 정원, - 소쇄원 

창평들과 별뫼의 원림들 | 소쇄원 경영의 뜻 ...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지은이 
김봉렬 
1958년생.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AA School 에서 수학했다. 1985년부터 1997년까지 울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건축 역사 연구와 현대건축 비평분야를 넘나들며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서울시와 문화재청의 문화재위원회, ICOMOS 한국위원회 등 전문 지식인을 필요로 하는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전국의 박물관과 미술관ㆍ기업체ㆍ각종 학교 등에서 쉽지만 깊은 내용의 강연으로 건축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고전 건축의 분석을 통해 현재적가치를 찾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고운사 건축의집합구조 연구』등 3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고 같은 맥락에서 
<한국의 건축>, <서원건축>, <법주사>, <화엄사>, <시대를 담는 그릇>, <앎과 삶의 공간>등 을 발표했다. 20대에 집필한 최초의 저서 <한국의 건축 - 전통건축 편>은 일본 교토에서 일어판으로 출간되었고, 2005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한국의 책 100권''으로 선정.전시된 는 영국 Saffron Books에서 영어판으로 출간되었다. 

사진 
이인미 
1967년생.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월간『이상건축』기자로 활동했다. 동명정보대학교와 동의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건축사진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건축사진작업실 ''비온후''대표로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