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서문 - 참회와 사랑의 고백
초판 서문 - 깨달음과 변화의 영원함



1 폐허 속의 상상력, - 미륵대원

상상력의 원천, 건축적 폐허 | 하늘재 밑의 석굴사원 | 자연에 대한 순응과 인공적 변형
상상적 복원 | 주변의 폐허들

2 소리와 그늘과 시의 정원, - 소쇄원

창평들과 별뫼의 원림들 | 소쇄원 경영의 뜻 | 3개의 레벨과 건물
구성 요소, 담장과 물길 | 맑고 시원함이 오는 곳 | 소쇄원 사람들의 보존 노력
인근의 정자들

3 은둔을 위한 미로들, - 독락당과 옥산서원

회재 이언적의 사상과 건축 | 적극적인 은둔의 조건 | 은둔을 위한 미로의 구성
독락당, 홀로 즐거운 집 | 옥산서원의 건축사 | 정통주의의 재현 | 안강 세 골짜기의 건축

4 침묵의 기념비 - 종묘

낙동강 서쪽의 이상한 집들 | 상주 양진당 | 양진당과 관련된 건축들
상주 대산루 | 우산동천의 건축들 | 상주의 건축이 갈망했던 것 | 상주의 이층집들

5 장인정신과 공예적 전통 - 전북의 작은 사찰들

윤증과 중세의 이상 | 향촌에 공개된 장원 | 안채와 안마당
사랑체와 행랑채 | 절제와 여유 | 윤증기의 다른 건축들

6 중세적 장원의 흔적, - 선교장

강릉, 변방의 중심 | 장원으로서의 선교장 | 두 집의 집합체
집합의 데이텀들

7 공동체 마을과 건축 - 방촌마을

정통 마을에서 배우는 것 | 숨겨진 광맥, 방촌마을 | 마을과 땅의 생김새
공동체의 장소 | 마을 길의 구성 | 살림집들의 모습
개별 주택의 발견 | 생활 속의 디자인 능력 | 주변의 공동체 건물

8 서로하로 이룬 천상의 세계, - 광한루원

지상에서 천상으로 | 남원부의 센트럴 파크 | 누각이란 무엇인가
누대와 누원의 사상과 설화 체계 | 설화와 문학이 빚은 정원 누각

9 최후와 최고, - 선암사

선암사가 최고인 이유 | 조계산의 두 사찰 이야기
산 속의 자족 도시 | 살아 있는 수도원 집단


부록

건축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 도면 목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