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한중록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혜경궁홍씨
정병설
표제/저자사항한중록/혜경궁 홍씨 지음,정병설 옮김.
발행사항파주:문학동네,2010
형태사항485 p. :삽화, 초상;23 cm
총서사항한국고전문학전집;003
총서부출표목한국고전문학전집;003
부분표제閑中錄
ISBN9788954608916
9788954608886(세트)
서지주기참고문헌과 "혜경궁 관련 연보" 수록
비통제주제어조선문학,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0058 810.82 문92ㅎ v.3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2 EM000306 810.82 문92ㅎ v.3 c.2 서고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5 

<제1부 내 남편 사도세자 17>

서문 19
내 남편 사도세자 24
총명한 아기 세자 24│ 태어나자 부모 품을 떠나다 26│동궁의 흉한 내인들 27│동궁의 병정놀이 29│영조의 자식 교육 33│옹송그려 아버지를 뵙다 34│화평옹주의 죽음 35│사랑받지 못한 화협옹주 37│대리청정령 38│영조의 편집증 39│세자가 덕이 없어 날마...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저자 : 혜경궁 홍씨 

1735~1815. 서울의 대표적 노론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열 살 때 궁중으로 들어가 사도세자의 부인이 되었다. 스물여덟 살 때 남편이 뒤주에 갇혀죽었다. 마흔두 살 때 아들 정조가 왕위에 올랐다. 아들이 임금이 되었는데도 혜경궁의 친정은 편하지 못했다. 정조가 외가를 자신의 방해 세력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환갑 무렵에야 정조의 용서로 친정에 서광이 비치는 듯했으나 정조가 갑작스레 죽는 바람에 다시 칼바람이 불었다. 생일까지 꼭 같은 손자 순조가 왕위에 올랐지만 어린 나이라 오랜 정적인 정순왕후가 권력을 잡았다. 정순왕후는 혜경궁의 동생 홍낙임을 죽였다. 혜경궁은 이 첩첩한 아픔과 억울함을 담아 몇 편의 유려한 산문을 남겼다. 그것이 바로 『한중록』이다. 

역자 : 정병설 

1997년 한국문학사의 최장편 소설인『완월회맹연』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명지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선시대의 주변부 문화이다. 조선시대 소설 유통에 대한 연구와 조선의 문화적 위상에 대한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 기생의 삶과 문학을 다룬『나는 기생이다-소수록 읽기』(2007, 문학동네)와 그림과 소설의 관계를 연구한『구운몽도-그림으로 읽는 구운몽』(2010, 문학동네)이 있다. 조선의 음담패설집인『기이재상담』에 대한 번역 해설서『조선의 음담패설』(예옥, 2010)도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