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art. 1 청록집(靑鹿集)
-제 1부-
박목월
임 = 14
윤사월(閏四月) = 15
삼월(三月) = 16
靑노루 = 17
갑사댕기 = 18
나그네 = 19
달무리 = 20
박꽃 = 21
길처럼 = 22
가을 어스름 = 23
연륜(年輪) = 24
귀밑 사마귀 = 25
춘일(春日) = 26
산이 날 에워싸고 = 27
...
더보기
목차 전체
Part. 1 청록집(靑鹿集)
-제 1부-
박목월
임 = 14
윤사월(閏四月) = 15
삼월(三月) = 16
靑노루 = 17
갑사댕기 = 18
나그네 = 19
달무리 = 20
박꽃 = 21
길처럼 = 22
가을 어스름 = 23
연륜(年輪) = 24
귀밑 사마귀 = 25
춘일(春日) = 26
산이 날 에워싸고 = 27
산그늘 = 28
-제 2부-
박두진
향현(香峴) = 32
묘지송(墓地頌) = 33
도봉(道峯) = 34
별 = 36
흰 장미와 백합꽃을 흔들며 = 38
연륜(年輪) = 39
숲 = 41
푸른 하늘 아래 = 43
설악부(雪岳賦) = 45
푸른 숲에서 = 47
어서 너는 오너라 = 49
장미(薔薇)의 노래 = 51
-제 3부-
조지훈
봉황수(鳳凰愁) = 56
고풍의상(古風衣裳) = 57
무고(舞鼓) = 58
낙화(落花) = 59
피리를 불면 = 61
고사(古寺) 1 = 63
고사(古寺) 2 = 64
완화삼(玩花衫)- 목월(木月)에게 = 65
율객(律客) = 67
파초우(芭蕉雨) = 69
산방(山房) = 71
승무(僧舞) = 72
Part.2 청록집(靑鹿集) 이후 초기 작품
-제 1부-
박목월 『산도화(山桃花)』
달 = 78
산도화(山桃花)1 = 79
산도화(山桃花)2 = 80
산도화(山桃花)3 = 81
해으름 = 83
임에게 1 = 84
임에게 2 = 85
임에게 3 = 86
임에게 4 = 87
靑밀밭 = 88
-제 2부-
박두진 『해』
해 = 90
들려 오는 노래 있어 = 91
해의 품으로 = 93
낙엽송(落葉松) = 95
샘이 솟아 = 96
靑山道(청산도) = 98
숲 = 100
毘盧峯(비로봉) = 102
햇볕살 따실 때에 = 105
하늘 = 107
오월(五月)에 = 109
새벽 바람에 = 111
바다 1 = 113
바다 2 = 114
-제 3부-
조지훈 『풀잎단장(斷章)』
아침 = 118
산길 = 119
그리움 = 120
절정(絶頂) = 121
풀밭에서 = 123
묘망(渺茫) = 124
밤 = 125
달밤 = 126
암혈(岩穴)의 노래 = 127
窓(창) = 129
풀잎단장(斷章) = 131
사모(思慕) = 132
석문(石文) = 134
앵음설법(鶯吟說法) = 136
가야금(伽倻琴) = 137
산(山) = 140
도라지꽃 = 141
낙엽(落葉) = 142
倚樓吹笛[피리를 불다] = 144
송행(送行) ―만 오일도 선생(輓 吳一島 先生)- = 146
Part.3 청록파 시인들의 현실 참여시
-제 1부-
박두진 『거미와 성좌』
돌의 노래 = 152
산맥(山脈)을 간다 = 155
바다의 靈歌(영가) = 157
거미와 성좌(星座) = 162
봄에의 檄(격) = 171
항거설 = 177
바다가 바라뵈는 언덕의 풀밭 = 179
꽃과 항구(港口) = 181
젊은 죽음들에게 = 183
우리들의 깃발을 내린 것이 아니다 = 186
강 II = 190
갈보리의 노래 I = 192
갈보리의 노래 II = 194
갈보리의 노래 III = 195
시인공화국(詩人共和國) = 197
-제 2부-
조지훈 『역사 앞에서』
눈 오는 날에 = 206
동물원의 오후(動物園의 午後) = 208
산상(山上)의 노래 = 210
역사(歷史) 앞에서 = 212
불타는 밤거리 = 213
절망의 일기(絶望의 日記) = 222
전선의 서(戰線의 書) = 224
풍류병영(風流兵營) - 종군문인 합숙소(從軍文人 合宿所)에서- = 226
다부원에서(多富院에서) = 228
서울에 돌아와서 = 233
봉일천 주막에서(奉日川 酒幕에서) = 234
패강무정(浿江無情) = 236
종로에서(鐘路에서) = 238
이 날에 나를 울리는 = 240
불타는 밤거리 = 242
비혈기(鼻血記) =
-제 3부-
조지훈 『여운(餘韻)』
설조(雪朝) = 246
여운(餘韻) = 248
범종(梵鐘) = 251
꿈 이야기 = 252
추일단장(秋日斷章) = 254
폼페이 유감(有感) = 258
소리 = 263
터져오르는 함성(喊聲) = 266
사랑하는 아들딸들아 = 269
늬들 마음을 우리가 안다 - 어느 스승의 뉘우침에서 = 273
그 날의 분화구(噴火口) 여기에 – 고대사월혁명탑명(高大四月革命塔銘)- = 278
Part.4 청록파 시인들의 산문
-제 1부-
박목월 『나의 문학여정』
문단 데뷔 전후 = 284
지훈과 나 = 288
학 같던 두진 = 294
『청록집』 출판 기념회 = 298
1950. 6. 25. = 302
때 아닌 입영 = 306
시지프스의 형벌- 박두진 형에게 = 390
지훈의 마지막 모습 = 312
-제 2부-
조지훈 『조지훈의 산문』
무국어(撫菊語) = 318
돌의 미학 = 320
방우산장기(放牛山莊記) = 330
술은 인정이라 = 333
주도유단(酒道有段) = 337
포호삼법(捕虎三法) = 343
지조론(志操論) = 346
여름 방학엔 무엇을 할까 -귀향하는 학생들에게- = 357
청춘의 특권을 남용하지 말라 - 대학생의 體貌(체모)를 위하여- = 360
대학이란 이런 곳이다. - 신입생에게 주는 글- = 369
우익좌파(右翼左派) = 373
호상비문(虎像碑文) = 376
청록파의 문학사적 의미망
- 최동호(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 380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