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총서를 펴내며 = 4
머리말 = 10
1 조선으로 건너온(渡韓) 일본인 = 27
1.왜관에서 시작된 일본인 거류 역사
수차례 변동된 왜관의 운명|일본, ‘조선으로 가는 일본인 제한’ 규정 해제
2.서울에 들어선 일본공사관과 일본인
3.청일·러일전쟁으로 더욱 급증하는 일본 인구
일본인이 많이 살던 지역: ...
더보기
목차 전체
총서를 펴내며 = 4
머리말 = 10
1 조선으로 건너온(渡韓) 일본인 = 27
1.왜관에서 시작된 일본인 거류 역사
수차례 변동된 왜관의 운명|일본, ‘조선으로 가는 일본인 제한’ 규정 해제
2.서울에 들어선 일본공사관과 일본인
3.청일·러일전쟁으로 더욱 급증하는 일본 인구
일본인이 많이 살던 지역: 항구 그리고 서울
4.1910년부터 일제시기 말까지 재조선 일본인 규모와 비중
‘내지인’, 즉 ‘식민지의 본국’ 국민이 된 일본인|존재 이유가 없어진 ‘거류민단’ 폐지
2 ‘국권피탈’ 이전부터 설립된 일본인 학교 = 43
1.자녀 교육의 선두에 선 거류민
2.소학교와 유치원
부산에서 출발한 일본인 소학교와 유치원 역사|원산항과 인천에 설립된 소학교와 유치원|수도 서울에 들어선 일본인 소학교와 유치원|군산, 목포, 마산에서 시작된 일본인 소학교|
북한 지역에 처음으로 설립된 일본인 교육시설: 진남포, 평양, 개성|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의 명칭에 대하여
3.고등여학교, 남자 중학교보다 일찍 들어서다
부산고등여학교, 재조선 일본인 여성을 위한 첫 고등여학교|서울에 자리한 일본인 여자 중등교육기관
4.경성중학교, 경희궁에 둥지를 틀다
재조선 일본인을 위한 첫 번째 정식 중학교, 서울에 설립되다|경희궁을 침범한 경성중학교의 새 둥지|해방 후 경성중학교로|경성중학교 설립으로 황폐화된 경희궁
3 일본인 교육제도 구축 = 109
1.<재외지정학교제도> 실시
<재외지정학교제도> 제정과 실시|재외지정학교의 변동과 <재외지정학교제도> 폐지
2.<소학교규칙> 실시
3.<학교조합령> 실시
<학교조합령〉과 학교조합이란?|〈학교조합령〉 제정과 학교조합 설립의 목적|학교조합, 조선 방방곡곡에 설립되다|학교조합 증가와 병행해 증설된 일본인 학교|학교조합의 수익사업과 부동산
4 풍요로운 교육환경, 그래도 ‘내지’를 동경하는 일본인 학생 = 141
1.1910~1945년 설립된 일본인 학교
2.일본 어린이, 누구나 소학교로
빠르게 그리고 광범위하게 설립된 일본인 소학교|일본인 취학률을 높이기 위해 동원된 추가 방안|일본보다 높은 재조선 일본인 소학교 취학률
3.재조선 일본인 여학생, 그래도 일본의 여학생보다는 ‘누렸다’
4.그래도 ‘내지’ 학교가 좋아
5 일본인 교정 안팎의 풍경 = 171
1.‘모국’ 일본에 대한 관심과 혼돈
‘내지’에서 멀어지는 일본인 학생|일본인 학생의 일본 방문과 혼돈
2.서열화한 학교, 입학 전쟁
입신출세, 학교 서열화 그리고 입학 경쟁|소학교 학생의 입시 준비 전쟁|중학교 서열
3.수학여행은 조선의 여러 지방과 일본, 만주로
조선에서 수학여행은 언제 시작됐을까|일제의 조선 수학여행 관여와 통제|재조선 일본인 학생의 수학여행
4.교정까지 파고든 전시체제
군사훈련에 동원된 일본인 남학생|전시체제기 고등여학교와 일본인 여학생|소학교 학생의 ‘단련’ 수업과 노동 동원
6 일본인 학생과 조선인 학생, 따로 또 같이 = 217
1.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밀치다
일본의 교육제도로 조선 교육의 틀을 삼다|일본어로 조선어를 밀치다|필수 교과가 된 ‘창가’
2.‘공학’, 함께 가르친다 했지만
결코 균등하지 않은 교육기회|학교 이름도 계속 각각|조선인 보통학교 교사도 대부분 일본인
3.학교조합과 학교비, 늘 따로
일본인 ‘학교조합’에 대응하는 조선인 ‘학교비’|교육 여건에서도 드러나는 차이
4.조선인 학교에 간 일본인 학생
조선인 보통교육기관의 일본인 학생|조선인 공립초등교육기관의 일본인 학생|일본인 학생이 조선인 학교에 다닌 이유: 청주고등보통학교 사례|조선인 학교에 다닌 일본인 학생의 사회적 배경
맺음말 = 270
주 = 277
참고문헌 = 307
찾아보기 = 31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