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한국어판 서문 = 5
서문 = 14
1부 한국 자본주의의 발흥
1. 상인과 지주 : 1876~1919년의 자본축적 = 33
새로운 시장경제 = 34
상인 = 39
지주 = 43
고창 김씨가 = 47
1) 지리 = 48
2) 기업가적 지주 = 51
3) 기업의 성과 = 55
...
더보기
목차 전체
한국어판 서문 = 5
서문 = 14
1부 한국 자본주의의 발흥
1. 상인과 지주 : 1876~1919년의 자본축적 = 33
새로운 시장경제 = 34
상인 = 39
지주 = 43
고창 김씨가 = 47
1) 지리 = 48
2) 기업가적 지주 = 51
3) 기업의 성과 = 55
2. 산업자본가 : 이행과 출현, 1919~1945 = 60
이전의 공업화 노력 = 61
산업자본주의로의 이행 = 64
1) 신세대의 등장 : 고창 김씨가 = 64
2) 경제적 이행 = 76
3) 식민정책의 전환 = 80
산업자본가의 출현 = 92
1) 한국인 자본가에 대한 장애 = 95
2) 한국인의 비중 = 98
3) 경방 재벌 = 102
2부 성장의 유형
3. 자본가계급과 국가 : 금융면의 연계망 = 112
주식자본 = 120
보조금 = 126
대출 = 133
1) 대출의 원천 = 137
2) 대출의 조건 = 143
3) 대출의 진상 = 146
4. 자본가계급과 국가 : 경영의 동업자 = 160
정책의 입안과 실행 = 161
1) 전시통제 = 166
2) 사회적 연계 = 169
이익이 우선 = 175
1) 경방 : 전시하 기업경영과 국가정책의 융합 = 175
2) 전시 봉사로 얻은 보수 = 186
3) 요약 = 190
5. 식민본국과 변방 사이에서 : 원료와 기술의 획득 = 192
원료 = 195
1) 면사 = 196
2) 원료의 조달 과정 = 199
3) 면화 = 202
기술 = 213
1) 기계 = 217
2) 전문 기술 = 223
6. 식민본국과 변방 사이에서 : 시장을 찾아서 = 231
판매 경로 = 231
시장구조 : 만주와 그 너머로 = 241
1) 부차적 요인들 = 243
2) 식민지 정책 = 245
3) 경방과 만주 = 255
4) 남만방적주식회사 = 262
5) 경방과 중국 = 267
요약 = 275
3부 자본가계급과 사회
7. '무사히' : 노동계급에 대한 자본가의 시각과 취급 = 282
경방에서의 노동생활 = 284
저항과 억압 = 297
1) 1926년의 경방 파업 = 302
2) 1931년의 경방 파업 = 308
1931년 이후 = 324
8. 민족보다는 계급 : 내선일체와 한국인 자본가 = 327
한국의 민족주의와 자본주의 = 327
1) 사대주의 유산 = 330
2) 식민지민의 심성 = 333
3) 후발 효과 = 338
4) 경제적 체제내화 = 339
5) 시간의 경과 = 342
내선일체 = 343
1) 자본가의 반응 = 348
2) 고창 김씨가 = 351
3) 민족 위의 계급 = 355
4) 부르주아민족주의의 종언 = 369
결론 : 식민지의 유산 = 371
부록 1 역대 통감부ㆍ총독부 고위 관료 = 380
부록 2 김성수, 〈대의에 죽을 때 - 황민됨의 책무는 크다〉 = 382
주석 = 386
역주 = 477
참고문헌 = 480
역자후기 = 505
찾아보기 = 51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