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엮은이의 글 : ''국사''를 둘러싼 ''연쇄와 차이'' / 윤해동 = 5
총론 한국과 일본의 20세기 역사학을 돌아보며 / 도면회(都冕會) = 21
1. 왜 역사학의 세기인가? = 23
2. 통치와 침략의 도구로서의 일본 근대역사학 = 26
3. 저항과 모방 사이의 한국 근대역사학 = 32
4. 과거를 망각한 일본 전후역사학의 ...
더보기
목차 전체
엮은이의 글 : ''국사''를 둘러싼 ''연쇄와 차이'' / 윤해동 = 5
총론 한국과 일본의 20세기 역사학을 돌아보며 / 도면회(都冕會) = 21
1. 왜 역사학의 세기인가? = 23
2. 통치와 침략의 도구로서의 일본 근대역사학 = 26
3. 저항과 모방 사이의 한국 근대역사학 = 32
4. 과거를 망각한 일본 전후역사학의 일방성 = 36
5. 민족/국가 기획으로서의 한국 현대역사학 = 41
6. 유럽중심주의와 국사 중심 체제를 넘어서 = 47
1부 오리엔탈리즘 속의 내셔널히스토리
''세계사''의 일본적 전유 - 랑케를 중심으로 / 고야마 사토시(小山哲) = 53
1. 일본에서 수용한 랑케 - 또 하나의 측면 = 55
2. 랑케기념제 - 일본 근대사학의 조상숭배 = 65
3. 국민국가와 식민통치 - 사카구치 다카시 = 74
4. 철학화된 랑케 - 스즈키 시게타카 = 100
5. 일본적 랑케의 망령 - 망각과 소생 = 122
일본의 동양사학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시라토리 구라카치(白鳥庫吉)의 역사학 / 미쓰이 다카시(三ツ井崇) = 131
1. 인간 부재의 역사학 = 133
2.''동양''의 대상화 = 136
3. 언어와 ''국민성'' = 146
4. ''자리''로 향한 시각 = 154
5. 동양을 바라보는 일본의 시선 = 170
국사는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 한국 근대역사학의 창출과 통사체계의 확립 / 도면회(都冕會) = 175
1. 근대역사학의 구성 요건 = 177
2. 자국사 교육의 도입과 역사교과서 편찬 = 180
3. 중화질서의 탈피와 만국공법 질서의 수용 = 184
4. 정통론의 근대적 변용을 통한 통사체계 구성 = 194
5. 신사체의 보편화와 두 가지 통사체계의 확립 = 204
식민지 조선에서 동양사학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 경성제국대학 안의 ''동양사학'' / 박광현(朴光賢) = 215
1. 경성제국대학과 ''동양문화''의 탄생 = 217
2. 동양사학의 성립과 조선사 = 220
3. 경성제국대학 사학과의 편제에서 나타난 ''동양'' = 225
4. 사학과 인적 구성의 특징 = 233
5. 조선인 동양사학 전공자의 학문적 실천 = 238
6. 해방 후의 동양사학을 향하여 = 244
2부 공전하는 한국의 탈식민주의 역사학
''숨은 신''을 비판할 수 있는가? - 김용섭의 ''내재적 발전론'' / 윤해동(尹海東) = 249
1. ''숨은 신'' -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 251
2. ''내재적 발전론''의 논리 구성 = 254
3. ''내재적 발전론''의 고착 = 270
4. ''일국적 발전론''을 넘어서 = 280
민족과 진리는 하나일 수 있는가? - 이기백의 실증사학 / 김기봉(金基鳳) = 285
1. ''제3의 길''로서의 실증사학 = 287
2. 식민주의 사학 극복을 통한 과학적 한국사학의 정립을 위하여 = 290
3. 민족주의 사학을 넘어서 실증사학으로 = 292
4. 세계사적 보편성과 한국사의 특수성 = 299
5. 현재주의를 넘어선 진리지상주의 = 307
6. 21세기 한국사학을 위하여 = 312
국가/근대화 기획으로서의 서양사 - 민석홍의 유럽중심주의 역사학 / 육영수(陸榮洙) = 319
1. 나는 왜? = 321
2. 윤곽 그리기: 민석홍의 학문적 생애와 서양 역사학 = 323
3. 골격 세우기: 민석홍의 역사관과 현실 인식 = 327
4. 내용 채우기: 근대화론 또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 = 331
5. 존재적 딜레마 또는 자기완성: 민석홍의 프랑스혁명 해석 = 337
6. 다시 보기: 민석홍과 역사교육 - 세계사는 서양 중심적으로 전개ㆍ발전되는가? = 342
7. 남은 생각과 과제 = 348
국민도 아닌 민족도 아닌 소수자의 역사 - 전후 일본의 재일조선인사 연구 / 도노무라 마사루(外村大) = 355
1. 재일조선인사 연구가 시작되기까지 = 357
2. ''해방''후 초기의 회고와 기념 = 358
3. 반성 없는 일본인과 배외주의의 고조 = 363
4. 전후 혁신세력의 인식과 그 문제점 = 368
5. 조선노동당ㆍ조선총련과 역사연구 = 379
6. 재일조선인 역사학자의 ''당사자''연구 = 388
7. 소수자의 역사를 향하여 = 392
3부 독백하는 일본의 전후역사학
''민중사상사'' 연구의 출발 - 야스마루 요시오(安丸良夫)의 방법적 혁신 / 도베 히데아키(戶邊秀明) = 397
1. 사학사는 왜 필요한가? = 399
2. 출발 당시 ''민중사상사''의 과제 = 407
3. 근대 민중상의 전회 - 통속도덕론의 의의와 위치 = 422
4. ''판돈''이 되는 민중(사상)사 연구 = 433
''공동체론''의 차질 - 이시모다 쇼(石母田正)의 일본 고대사학 / 다나카 사토시(田中聰) = 441
1. 일본인으로서의 ''이적'' = 443
2.《일본의 고대국가》에 보이는 분열 - 국제적 계기와 아시아적 수장제 = 448
3. ''인민투쟁사''의 시대 - 1967년∼1970년대 중반 = 458
4. 다시 ''동아시아''라는 과제로 = 464
전후시와 전후역사학의 조우 - 1950년대의 서사시적 갈망 / 이와사키 미노루(岩崎稔) = 467
1.《황무지》파의 시와 그 ''지연'' = 469
2.〈화승총의 노래〉와 서사시적 선망 = 476
3. 일국적인 ''배반의 혁명''사관 = 488
4. 또 다른 초상의 가능성 = 495
고대 동아시아세계론을 다시 생각한다 / 이성시(李成市) = 503
1. 왜 동아시아세계론인가? = 505
2. 동아시아세계론의 이론적 사정거리 = 506
3. 일본 전후역사학과 동아시아세계론 = 511
4. 동아시아세계론의 재검토를 위한 방법론적 시각 = 517
5. 새로운 동아시아세계론을 위하여 = 526
참고문헌 = 531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