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추천의 글 = 4
머리말 = 7
서설 : 필담과 동아시아 = 18
''관계''로서의 동아시아 문화권 = 18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형성 = 22
필담, 동아시아의 특수한 의사소통 방식 = 24
동문(同文)의 세계와 필담 = 28
제1부 조선통신사 필담이란
01 문화사절단으로서의 통신사 = 32
통신사 파견의 ...
더보기
목차 전체
추천의 글 = 4
머리말 = 7
서설 : 필담과 동아시아 = 18
''관계''로서의 동아시아 문화권 = 18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형성 = 22
필담, 동아시아의 특수한 의사소통 방식 = 24
동문(同文)의 세계와 필담 = 28
제1부 조선통신사 필담이란
01 문화사절단으로서의 통신사 = 32
통신사 파견의 목적과 배경 = 32
통신사 문화교류의 시작 = 37
문화교류의 꽃, 필담창화 = 41
02 필담창화의 방식 = 48
시문창화와 외교 = 48
통신사 필담창화의 방식 = 53
필담창화 현장의 분위기 = 58
03 필담창화집의 제작과 유통 = 62
필담창화집의 제작 방법과 책의 구성 = 62
출판과 자료 현황 = 67
필담창화집의 서발(序跋) = 73
04 필담창화의 주역들 = 73
조선 문(文)의 대표, 제술관과 서기 = 73
통신사 문화교류의 주역, 서얼과 중인들 = 84
통신사를 만난 일본 문인들 = 88
제2부 교류의 시작과 탐색
05 권칙과 이시카와 조잔 = 98
시인과 시인의 만남 = 98
1636년, 필담창화의 시작 = 102
일동(日東)의 이두(李杜) = 103
『조선필담집』의 간행과 유전 = 107
06 홍세태의 일본 사행 = 109
히토미 가쿠잔과의 인연 = 109
위항시인 홍세태 = 115
일본에서의 활약과 그 후 = 117
제3부 열띤 교류, 그리고 경쟁의 실마리
07 오규 소라이와『문사기상』 = 122
창화시 비평을 수록한『문사기상』 = 122
고문사파에 대한 선양과 조선 시의 폄하 = 129
『문사기상』출판의 배경과 그 영향력 = 132
08 아라이 하쿠세키의 도전 = 135
아라이 하쿠세키와 신묘통신사 = 135
무악의 공연과『좌간필어』 = 137
서양 전문가 하쿠세키 = 141
중화의 의복을 둘러싼 미묘한 대립 = 147
『좌간필어』의 재해석과 80년 후의 출판 = 151
09『상한의담』과 의학필담의 유행 = 155
기타오 슌포와 기두문의 만남 = 155
통신사 의학 교류의 시작 = 159
최초의 의학전문 필담집『상한의담』 = 161
의학필담의 성행과 쇠퇴 = 167
10 신유한의 필담과『해유록』 = 174
사행록의 백미,『해유록』 = 174
『해유록』에 그려진 아메노모리 호슈 = 177
미즈타리(水足) 부자와의 만남 = 185
쇼코인에서의 인연 = 188
11 조선 언문에 대한 관심 = 196
필담창화집 속의 언문 반절표 = 196
언문에 관한 다양한 질문과 기록들 = 206
물명(物名) 조사에서 지식의 추구로 = 210
제4부 같으면서 다른 두 나라 : ''중화''를 향하여
12 중화의 의관과 용하변이 = 216
의관과 문명 = 216
중화의 의관에 대한 칭송 = 221
조선 의관에 대한 상고(詳考) = 223
용하변이(用夏變夷)에 대한 엇갈린 생각 = 230
13 중화 표상을 둘러싼 경합 = 237
누가 중화인가 = 237
천황 조정의 의관 문물 = 242
고악(古樂)과 고전적(古典籍) = 249
고(古)의 가치 = 254
14 왕인의 자취를 찾아서 = 257
일본 역사에 전하는 백제의 학자, 왕인 = 257
조선 측 기록에 대한 탐색 = 259
필담 기록에서 발견되는 ''증거 조작'' = 262
일본 문명의 시원으로서 발굴된 왕인 = 266
나니와의 시객(詩客), 왕인 = 270
제5부 충돌과 공명 속에서 이룬 인식의 전환
15 퇴계와 조선 성리학 = 274
하야시 라잔과 김세렴 = 274
『자성록』과『계몽전의』 = 279
조선 성리학에 대한 지식의 확장 = 285
관심의 퇴조, 그리고 마지막 장면 = 288
16 무진ㆍ계미사행의 학술 논쟁 = 292
학술 논쟁의 발단 = 292
진사이에 대한 비판, 그리고 소라이학과의 조우 = 294
소라이학과의 충돌 = 300
18세기 중반 일본 유학계와 계미통신사 = 306
학술 논쟁의 의의 = 311
제6부 잊지 못할 만남과 아쉬운 결말
17 두 명의 재자(才子), 난메이와 로도 = 320
성대중의「서일본이재자서(書日本二才子序)」 = 320
해중(海中)의 기재(奇才), 가메이 난메이 = 322
조선 문사들의 지기, 나바 로도 = 328
18 문아(文雅)의 선비들 = 336
다키 가쿠다이와『장문계갑문사』 = 336
다이텐 겐조와『평우록』 = 346
기무라 겐카도와〈겸가아집도〉 = 354
일본 문아(文雅)의 발견 = 360
19 쓰시마에서의 마지막 만남 = 364
역지통신으로 이루어진 신미사행 = 364
신미사행과 동아시아 문예 교류 = 368
주자학과 고증학, 그리고 고학 = 372
마쓰자키 고도와『접선음어』 = 379
소통과 경쟁의 기록, 통신사 필담 = 384
주석 = 389
참고문헌 = 403
찾아보기 = 40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