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7
제1부 한국 현대문학사의 의제들
이식(移植)·근세조선(近世朝鮮)·후진성(後進性)
: 『한국문학사』를 둘러싼 문학사적 무의식의 풍경들 [김동식] = 17
1. 1968년의 문학적 풍경 또는 '신문학 60년'을 둘러싼 문제들 = 17
2. 이식(移植)의 비(非)서구적 일반성과 Literature의 역어(譯語)로서의 신문학 : 임화...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7
제1부 한국 현대문학사의 의제들
이식(移植)·근세조선(近世朝鮮)·후진성(後進性)
: 『한국문학사』를 둘러싼 문학사적 무의식의 풍경들 [김동식] = 17
1. 1968년의 문학적 풍경 또는 '신문학 60년'을 둘러싼 문제들 = 17
2. 이식(移植)의 비(非)서구적 일반성과 Literature의 역어(譯語)로서의 신문학 : 임화 = 22
3. 근세조선의 특수성과 지방변이적 근대의 후진성 : 백철 = 31
4. 근대 부재(不在) 론과 이중(二重)의 후진성 : 조연현 = 39
5. 결론을 대신하여 : 유예된 물음 또는 한국문학은 근대문학인가? = 47
『무정』의 감정 수행과 자기 발견 혹은 자기 창조 [이수형] = 51
1. 비인칭 자아에서 일인칭 자아로 = 51
2. 자아 찾기, 수행적이며 창조적인 = 56
3. 수행적 자기 되기, 불안정하고도 부단한 = 65
4. 수행성의 마법,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린 = 73
칸트와 함께 만해를 = 81
: 『님의 침묵』의 자유의 이념과 사상 번역의 흔적 [강동호] = 81
1. 들어가며 = 81
2. '칸트의 님'은 누구인가? = 86
3. 『님의 침묵』에 각인된 칸트의 흔적들 = 102
4. 만해의 아이러니 : 반근대적 열정의 근대성 = 119
시적인 것마저 사라지는 순간
: 이태준의 「엄마 마중」을 중심으로 [이승은] = 126
1. 화두 = 126
2. 변형과 몰입 = 129
3. 천 개의 얼굴 = 135
오인된 '카르노스'의 노래
: 설정식 시의 윤리성과 그 시적 형상 [강계숙] = 138
1. '설정식'이라는 예외적 특이성 = 138
2. 문학적 화두로서의 '윤리' 개념 = 143
3. 민족의 악덕과 파국적 우화(愚話)의 세계 = 149
4. 예언의 윤리성 : '아모스'와 '카르노스'의 사이에서 = 157
5. '인민'의 이름으로 : '민족'과 '인민'의 경계 짓기 = 166
6. 맺음말 = 174
' 환자-여행자-(공화국)시인'으로서 기행시를 (못) 쓰기
: 오장환의 소련 기행시 창작 및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조영추] = 180
1. 환자-여행자-(공화국)시인'으로서의 여정과 시 쓰기의 딜레마 = 180
2. 분해된 '기행'의 시간성과 현장성 : 시집 『붉은 기』의 편성 체계와 개작 시도 = 189
3. 소련을 위한 찬가에서 '우리 혹은 나의' 노래로: 개작을 통한 '노래'의 변주 = 203
4. 나오며 = 221
박인환 시 다시 읽기
: 마음대로 시를 쓰는 것은 (불)가능한가? [최서윤] = 224
1. 들어가며 = 224
2. 해방기 전향과 자유의 불/가능성 = 228
3. 센티멘털리즘과 애도의 불가능성 = 240
문단의 '명동시대'와 다방의 문인 네트워크 [김지원] = 256
1. 문화예술장의 개편과 제도권 밖의 문인들 = 256
2. 만송족 논란과 문화예술장의 재편 = 262
8. '명동시대'의 기원과 형성 = 270
4. 환도 후 명동의 다방 네트워크 = 276
5. 월남문인들과 다방 = 289
6. 명동시대 그 이후: 종로의 다방들 = 296
제2부 한국문학 비평의 키워드
경험적인 것을 선험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어떻게?
: 김현 초기 시 비평의 문제의식 [조강석] = 311
1. 선험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 그리고 문화의 고고학 = 311
2. 1960년대의 한국 시단과 두 개의 앤솔로지 = 315
3. 암시의 시학과 수직적 이원론의 토착화 가능성 = 322
4. 이미지 계보학 = 333
5. 나오며 = 336
폭력과 유토피아, 그리고 문학이라는 세계 [한래회] = 338
1. 들어가며 = 338
2. 상상하려는 의지와 미적 유토피아 = 340
3. 폭력의 사회와 부정적 유토피아 = 343
4. 나오며 = 347
세대론들
: 「젊은 시인을 찾아서」 다시 읽기 [양순모] = 351
1. 세대론이란 = 351
2. 거부의 거부, 성장소설의 성장소설 = 353
3. 요즘 것들의 문학 = 356
4. 다른 세대론 : 「젊은 시인을 찾아서」 = 360
5. 따뜻한 헤어짐을 위하여 = 364
그런 나는 차마, [홍성희] = 368
모빌리티 텍스트학의 모색 = 394
: 장치로서의 (임)모빌리티와 그 재현 [김나현] = 394
1. 들어가며 = 394
2. 임모빌리티의 모빌리티와 재현 = 399
3. 장치로서의 모빌리티와 재현 = 413
4. 나가며 = 421
재한조선족 시에 나타난 '대림동'의 재현 양상 [전은주] = 424
1. 들어가며 = 424
2. 한국으로의 역이주와 '대림동'의 의미 = 428
3. 시에 나타난 '대림동'의 재현 양상 = 431
4. 나오며 = 443
제3부 한국문학의 안과 밖
대중 투자 텍스트의 화폐 상상 [권창규] = 449
1. '경제적 자유'를 성취한 부자 되기라는 목표 = 455
2. 부자 되기의 과정 : 일반인'에서 투자자로의 계발 = 463
3. 돈이 일하게 하라'는 화폐 상상 = 470
4. 투자 담론이 던지는 '욕망과 공포 앞에서 = 477
읽어버린 사람
: 독서행위이론으로서 들뢰즈의 마조히즘 [정한아] = 486
1. 속이 울렁거리는 철학자 = 486
2. 냉정함과 잔인성 : 예술의 문제로서의 증후학 = 489
3. 주체 구성 원리로서의 도착증 분석과 문학 비평 = 492
4. 초감각주의 = 494
5. 상상 가능한 것과 실존 가능한 것 = 497
6. 계약관계의 초과 달성 = 500
문학의 외부에서 [박수연] = 503
문학적 픽션과 공동체의 정치학: 한강의 『소년이 온다』
: '소아'의 담론화에 대한 논의와의 비교분석을 매개로 [정의진] = 525
1. 들어가며 = 525
2. 『소년이 온다』의 정치성 = 529
3. 증언 문학과 픽션 = 536
4. 『소년이 온다』의 텍스트적인 특수성과 정치성 = 548
5. 결론을 대신하며 : 픽션과 공동체 = 560
한국문학의 초국가적 연구를 위한 들뢰즈 문학론의 비평적 가능성 [김창환] = 566
1. 지역학/지역문학 연구의 쇠락과 후생(afterlife) = 567
2. 들뢰즈의 눈으로 동아시아 문학 보기 = 571
3. 동아시아 문학의 '축'에 드리운 그림자 = 577
4. 리좀적 운동으로 들끓는 '지역 문학'의 부활을 위하여 = 582
초출일람 = 586
찾아보기 = 587
저자소개 = 592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