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7
제1부 근대전환기 가사 문학의 대응과 변모
I 『초당문답가』를 통해 본 전환기 가사의 장르적 변환과 근대성
1. 서론 = 19
2. 자료 확정을 위한 이본의 개괄적 검토 = 23
3. 각 편의 내용 분석을 통해 본 내적 소통 양상 30
4. 시어 및 표현의 특징과 『초당문답가』의 주제 41
5. 마무리 = 5...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7
제1부 근대전환기 가사 문학의 대응과 변모
I 『초당문답가』를 통해 본 전환기 가사의 장르적 변환과 근대성
1. 서론 = 19
2. 자료 확정을 위한 이본의 개괄적 검토 = 23
3. 각 편의 내용 분석을 통해 본 내적 소통 양상 30
4. 시어 및 표현의 특징과 『초당문답가』의 주제 41
5. 마무리 = 51
II ‘복선화음가’ 계열 가사의 시대적 대응력과 대중화 방식
1. 서론 = 59
2. 두 유형의 서술 구조와 의미 = 64
3. ‘복선화음가’ 계열 가사에 나타난 근대성: 타자의 포용과 주체의 확립 = 76
1) 새로운 인간형의 창조와 타자에의 시선 = 76
2) 여성의 주체 되기: 포용성을 지닌 긍정적 주체로 = 80
3) ‘소비’ 욕망의 이중성 혹은 ‘가난’을 통한 연대 = 84
4. 마무리 = 88
III 조선 후기 가사 속 여성 인물 형상
1. 서론 = 97
2. 가사 속 여성 인물의 현실 = 101
1) 계기로서의 결혼 = 102
2) 고난의 내용과 극복 방식 = 105
3) 징벌 또는 보상 = 108
3. 가사 속 여성 인물의 욕망 = 113
4. 마무리 = 123
제2부 근대전환기 시조 문학의 대응과 변모
I 『大韓民報』 시조에 나타난 전환기 전통 시가의 대응
1. 서론 = 131
2. 자료의 실상 = 137
3. 매체 변화와 내용 특성 = 144
1) 시사성의 반영과 현실적 소재로의 접근 = 145
2) 고시조의 활용과 전통적 소재의 변용 = 151
3) 공감 유도의 표현과 문체의 다양성 = 156
4. 종장의 형식 변화와 기능 = 162
1) 종장 첫 음보의 성격: 관습적 표현 사용과 3음절어 유지 = 164
2) 종장 제2음보의 확장과 음보 첨가 = 169
3) 종장 구성 방식 특성: 어순도치와 종결부의 성격 = 175
5. 마무리 = 179
II 『萬歲報』 소재 「海東永言」의 성격과 시조비평의 의의
1. 서론 = 187
2. 자료의 실상 = 189
3. 「해동영언」 수록 시조의 전반적 성격 = 193
4. 「해동영언」 시조비평의 특성 = 201
5. 마무리 = 210
III 1910년대 잡지 수록 시조와 시조비평의 성격과 의미
1. 서론 = 215
2. 매체의 특성과 시조 수록 양상 = 219
3. 잡지 수록 시조와 시조비평의 성격 = 227
1) 『신문세계』와 『신문계』 시조 = 227
2) 『조선문예』 시조 = 239
4. 마무리 = 245
참고문헌 = 249
찾아보기 = 25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