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12
제1부
기록, 기록관리, 기록학
제1장 기록의 개념 = 17
1. 기록을 정의하는 이유 = 17
2. 기록은 증거인가? = 20
3. 기록은 정보인가? = 24
4. 문서와 기록 = 26
5. 활동의 지속적 재현물 = 28
제2장 기록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록학 = 37
1. 기록관리 패러다임의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12
제1부
기록, 기록관리, 기록학
제1장 기록의 개념 = 17
1. 기록을 정의하는 이유 = 17
2. 기록은 증거인가? = 20
3. 기록은 정보인가? = 24
4. 문서와 기록 = 26
5. 활동의 지속적 재현물 = 28
제2장 기록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록학 = 37
1. 기록관리 패러다임의 전개 = 37
2. 패러다임별 기록학의 특징 = 43
3. 기록 가치의 발견과 기록학의 지평 확장 = 53
제2부
증거
제3장 법적 증거와 기록 = 59
1. 문서의 신빙성 판단 = 59
2. 로마시대 - ‘영속적 기억’과 ‘공적 신뢰’ = 61
3. 중세 – 공증제도 및 인장 = 66
4. 르네상스 시대 – 문헌학의 등장과 법‧역사학 방법론 = 72
5. 17세기 – 고문서학((Diplomatics)의 등장 = 78
6. 18세기~19세기 - 증거법의 발전 = 86
제4장 역사의 증거와 기록 = 93
1. 19세기 사료 비판 방법론의 발전 = 93
2. 20세기 관료제에서 생산된 기록의 신빙성 판단 = 99
3. 사료 분석 방법에 대한 포스트모던 비판 = 107
4. 사료 비판과 기록관리 = 115
제5장 법적 증거능력과 기록의 품질 = 121
1. 사실, 증거, 진실 = 121
2. 증거능력(admissibility of evidence) = 125
3. 전문증거와 전문법칙 = 127
4. 업무기록의 증거능력 = 131
5. 증거의 진정성과 기록의 품질 = 138
제6장 증거의 기록학적 개념과 기록관리 = 157
1. 증거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 = 157
2. 증거의 기록학적 개념 = 161
3. 맥락 분석과 증거 추론 = 169
4. 출처의 원칙과 맥락의 원칙 = 177
제3부
기억
제7장 기억의 기록학적 의미 = 189
1. 기억과 기록 = 189
2. 집단기억과 기록 = 197
3. 기록학에서의 기억 연구 = 205
4. 기록을 보는 관점과 실천 = 213
제8장 기억담론에서의 기록 실천(Archival Activism) = 219
1. 기록을 통한 사회정의의 실천 = 219
2. 기억기관 - 사회적 기억의 형성자 = 224
3. 기억투쟁 -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기록활동 = 227
4. 회복적 기억 - 치유를 위한 기록활동 = 233
5. 기억과정 - 공동체 정체성 기반의 기록활동 = 238
6. 경계를 넘어 실천으로 = 240
제9장 침묵과 망각의 아카이브 = 245
1. 침묵의 정치, 망각의 제도화 = 245
2. 정치적 ‘침묵’ = 248
3. 제도적 ‘침묵’ = 257
4. ‘아카이브 침묵’에 대응하기 = 269
제10장 인권과 기록: 기억할 의무와 알 권리 = 285
1. 인권 원칙과 기록 = 285
2. 인권 옹호를 위한 기록전문가의 역할 = 290
3. 이행기 정의와 인권 아카이브 = 298
4. 국내외 인권 아카이브 사례 = 310
5. 학술적 과제 = 322
제4부
정체성
제11장 로컬리티 기록화 = 329
1. 로컬리티 기록화의 이론적 논의 = 329
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다양한 접근법 = 333
3. 로컬리티 기록화의 방향 = 346
4. 기록문화운동을 기대하며 = 352
제12장 지방기록물관리기관 = 355
1.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왜 필요한가? = 355
2. 기록관리 패러다임과 지방기록관리 = 356
3.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 = 361
4. 과제와 전망 = 369
제5부
공동체
제13장 참여와 협력의 아카이브 = 377
1. 다양성과 포용의 기록화 = 377
2. 로컬리티 기록화에서 참여의 의미와 유형 = 380
3. 참여형 아카이브 유형별 사례 = 391
4. 시사점 = 400
제14장 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 = 405
1. 공동체 아카이브의 부상 = 405
2. 공동체 아카이브의 특징 = 409
3.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평가 모형 = 416
4. 각별한 시선에서 실천으로 = 424
제15장 공동체 기록과 내러티브 만들기 = 429
1. 사회갈등의 기록, 누구의 입장을 대변하는가? = 429
2. 환경갈등 기록화의 특징과 영역 = 430
3. 환경갈등 기록화 모형 = 435
4. 동적 내러티브의 개발 = 442
5. 맺음말 = 451
제6부
전망과 과제
제16장 디지털시대 기록의 개념 = 457
1. 기록의 개념을 다시 생각해본다 = 457
2. 고정성과 물질성 = 459
3. 활동 재현의 메커니즘과 맥락 = 467
4. 재현의 신빙성 = 471
5. 맺음말 = 474
제17장 전자증거개시와 기록관리 = 479
1. 전자증거개시제도(e-Discovery) = 479
2. 소송 사례 분석 = 490
3. 기록정보관리의 방향 = 497
4. 위험 관리와 신뢰도 제고를 위하여 = 504
제18장 정보패러다임의 도래인가? = 509
1.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기록관리 = 509
2. 정보관리로의 확장 = 510
3. ‘디지털 연속성’에 입각한 정보자산 관리 = 515
4. 정보거버넌스 구현 = 520
5. 맺음말 = 529
색인 = 535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