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3
제1부 현대 한국어 형성기 문체 분석의 틀
제1장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설정과 하위 구분 15
1.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언어문화사적 특징 15
2.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두 축 20
3. 태동기 문어 사용 양상의 특징 30
4. 환태기 초기의 문어 사용 양상 45
5. 마무리 53
제2장 ...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3
제1부 현대 한국어 형성기 문체 분석의 틀
제1장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설정과 하위 구분 15
1. 현대 한국어 형성기의 언어문화사적 특징 15
2.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을 검토하기 위한 두 축 20
3. 태동기 문어 사용 양상의 특징 30
4. 환태기 초기의 문어 사용 양상 45
5. 마무리 53
제2장 언문일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구현 59
1. 언문일치와 문체 현대화의 상관성 59
2. 근대 계몽기 지식인들의 언문일치에 대한 인식과 그 구현 64
3. 어휘 사용의 변화와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구현-신문 사설의 경우 80
4. 마무리 83
제3장 문체 현대화의 한 변인-한글 전용과 국한 혼용 85
1. 서사방식書寫方式과 문체의 상관성 85
2. 서사 방식, 글갈래, 독자와 문체 변이 92
3. 태동기 한국어 문장의 혼효성 극복과 어휘의 변화 100
4. 서사 방식에 따른 어휘적 준거 사용 양상 대조 분석 123
5. 마무리 127
제4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와 단음절 한자 용언의 사용 양상 변화 131
1. 논의를 시작하면서 131
2. 검토 대상 국한혼용문의 범위 한정 135
3. 문체 현대성 판별 준거의 추출 141
4. ‘단음절 한자+하()-’형 용언 사용 양상의 변화 146
5. 마무리 157
제2부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제5장 <서유견문>의 문체 특성과 태동기 국한혼용문 문체 연구의 방향 161
1. 태동기 국한혼용문 연구의 방향성 161
2. <서유견문> 문체 연구사 검토 164
3. <서유견문>의 문체 특성 180
4.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연구과 코퍼스 분석 202
5. 마무리 208
제6장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유형, 문체 특성, 사용 양상 211
1. 태동기 국한혼용문 연구의 방향성 211
2. 국한혼용문의 유형별 문체 특성 분석을 위한 몇 가지 전제 213
3. 유형별 문체 특성 219
4.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사용 양상과 관련된 문제 243
제7장 <서유견문> 용언류의 분포와 구성 247
1. 태동기 용언류 분석과 <서유견문> 247
2. 고유어 용언의 유형과 특징 250
3. 단음절 한자 용언의 용법과 특징 257
4. 2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67
5. 3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75
6. 4음절 한자어 용언의 용법과 유형 281
7. ‘-이-’계 술어구의 용법과 그 특징 286
8. 용언류 분석의 결과와 그 함의 289
제8장 국한혼용문 텍스트와 순한글 텍스트 공존의 한 양상 295
1. 번역물에 있어서의 국한혼용문 텍스트와 순한글 텍스트 295
2. 태동기 다중 번역 서사물의 서지ㆍ번역 저본ㆍ문체 300
3. 논의 결과의 활용 방안 339
제9장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통합 341
1. 문체 통합을 논의하기 전에 341
2. <대한매일신보> 사설의 문체 통합과 그 방향 344
3. <서유견문>과 <대한매일신보> 사설의 용언 용법 비교 355
4. 문체 통합의 방향성 360
제3부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
제10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에 대한 시론 365
1. 논의의 목적 365
2. 태동기 국한혼용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67
3. 태동기 국한혼용문의 현대화 과정 372
4. 국한혼용문 현대화의 유인 380
5. 논의의 요약 386
제11장 환태기 중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특성 389
1. 환태기 중기 국한혼용문을 살피는 까닭 389
2. 대한제국 말기 국한혼용문의 문체 특성의 계승 392
3. <동아일보> 1920년 사설에서의 어휘 현대화 402
4. <동아일보> 1920년 사설의 문체사적 위상 426
5. 논의의 요약 430
제12장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 433
1. 환태기 국한혼용문을 살피는 까닭 433
2. 1920년∼1940년 사설 텍스트의 현대성 판별 438
3. 신문 사설에서의 현대적 국한혼용문의 출현 및 확산의 배경 449
4. 논의의 요약과 남은 문제들 457
제13장 국한혼용문의 현대화와 보조 용언 구성의 변화 463
1. 왜 보조 용언 구성을 살피는가 463
2. 국한혼용문에서의 용언류의 사용 양상 분석 469
3. 보조 용언류 사용의 확대 양상 475
4. 한문구 용언에서의 보조 용언의 한자화와 그 현대화 과정 484
5. 논의의 요약 489
<부록> <서유견문>의 편과 장 구성 및 약호 491
참고문헌 492
초출일람 505
간행사_ 근대 한국학총서를 내면서 506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