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대응어 대조 연구 =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prenouns and Chinese counterpart aspects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주위
표제/저자사항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대응어 대조 연구=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prenouns and Chinese counterpart aspects/지은이: 주위
발행사항서울:푸른사상(푸른사상사),2019
형태사항283 p.:표, 도판;24 cm
ISBN9791130814247
서지주기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인용자료주기권말부록: 『표준w』한자어 관형사 목록 ; 『표준w』고유어 관형사 목록
일반주제명한국어[韓國語]
관형사(품사)[冠形詞]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17090 715.5 주위66ㅎ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초록

  • 초록

책소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의 대조 연구
주위의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대응어 대조 연구』는 원활한 한국어 습득을 위한 필요성에 따라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대응 표현을 대조 분석한다. 기존의 직관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대조언어학과 말뭉치언어학을 기반으로 실제적 언어 양상의 특징을 밝힌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 머리말

 제1장 서론
1. 한국어 관형사 연구의 필요성
2. 한국어 관형사와 중국어 대응어의 선정
3. 대조언어학과 말뭉치언어학
4. 한국어 말뭉치

 제2장 한국어 관형사에 대한 선행 연구 개관
1. 한국어 관형사에 대한 선행 연구
1) 관형사 개념 및 품사 설정에 관한 논의
2) 관형사와 다른 범주의 관계에 관한 논의
3) 관...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저자 : 주위
저자 : 주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대련외국어대학교 한국어대학 전임강사. 저서로 『標準韓國語會話』(2008, 공편), 『?老外學最地道的韓語』(2013, 공편) 등이 있고 논문으로 「중국어 ‘要’와 한국어 ‘-겠-’의 양태적 용법에 대한 비교 연구」(2012), 「한국어 ‘的’자 구성과 중국어 대응어에 대한 연구」(2017), 「한국어 수관형사 ‘한’, ‘모든’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2018), 「말뭉치 기반 한국어 지시관형사와 중국어 지시대사 대조 연구」(2018), 「중국어 ‘新’의 한국어 대응 양상 연구」(2018) 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