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총론 - 고전시가와 근대성 재론
1. 들어가는 말 - 시가,고전시가,시가와 근대성이라는 문제영역 = 11
2. 전근대 시가의 존재방식 - 시가일도와 시가의 효용성 = 14
3. 시와 가의 분리와 시/가의 근대적 구성 과정 = 18
4. 나오는 말 = 29
제1부 19세기 시정문화의 흐름과 문화적 근...
더보기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총론 - 고전시가와 근대성 재론
1. 들어가는 말 - 시가,고전시가,시가와 근대성이라는 문제영역 = 11
2. 전근대 시가의 존재방식 - 시가일도와 시가의 효용성 = 14
3. 시와 가의 분리와 시/가의 근대적 구성 과정 = 18
4. 나오는 말 = 29
제1부 19세기 시정문화의 흐름과 문화적 근대성
19세기 도시유흥과 문화적 주체의 성장
1. 들어가는 말 - 도시유흥을 주목하는 이유 = 33
2. 도시와 도시유흥의 성장 = 37
3. 도시 체험의 문학적 반영과 재현 = 47
4. 나오는 말 - 19세기 문화사의 구도와 주체의 성장 = 56
문화의 대중화 경향과 잡가
1. 들어가는 말 = 60
2. 19세기 잡가의 존재양상 = 63
3. 19세기 시가사의 흐름과 잡가의 부상 = 69
4. 잡가의 통속성 = 77
5. 나오는 말 = 84
민간 가칭양식의 변화와 잡가
1. 들어가는 말 = 86
2. ‘잡가’개념의 변천 과정 = 88
3. 개념 변천 과정을 통해 본 잡가의 정체 = 104
4. 맺는말 = 108
19세기 말 20세기 초 잡가의 존재양상과 노래 공동체의 변화
1. 들어가는말 - 잡가를 주목하는 이유 = 110
2. 19세기 도시유흥과 잡가 = 113
3. 20세기 초 잡가의 소통환경과 노래 공동체의 재편 = 122
4. 나오는말 - 19세기말∼20세기 초 잡가의 위상과 노래 공동체 = 135
제2부 경험의 확장과 글쓰기의 변화
후기 가사의 흐름과 '록'으로의 지향
1. 들어가는말 - 삶의 기록으로서의 가사와 가사체 = 141
2. 조선 후기 가사와 ‘록’으로의 지향 = 145
3. ‘록자류’가사의 존재양상과 자료적 가치 = 149
4. 나오는말 - 록자류 가사의 문학사적 의미 = 157
화이관의 동향과 일본 기행가사의 계보
1. 들어가는 말 = 159
2. 다른 공간의 체험과 기행가사,일본 기행가사 = 162
3. 화이관의 지속과 변화 -〈장유가〉와〈일동장유가〉 = 165
4. 한 말의 운명과 일본관의 추이 = 173
5. 나오는 말 = 179
'서양'이라는 낯선 타자와의 대면
1. 들어가는 말 - 대한제국기의 서양관 = 181
2. 〈셔유견문록〉과〈해유가〉의 서지 사항과 존재양상 = 185
3. 〈셔유견문록〉과〈해유가〉에 나타난 서양의 표상적 의미 = 189
4. 나오는 말 = 199
규방가사의 지역별 변주와 글쓰기 방식의 다양화 1
경화사족 여성의 규방가사 창작과 향유 -〈이졍양가록〉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200
2. 〈이졍양가록〉구성과 창작·전승 경위 = 203
3. 사족 여성의 존재 방식과 〈이졍양가록〉 = 211
4. 나오는 말 - 여성문화권과〈이졍양가록〉 = 220
규방가사의 지역별 변주와 글쓰기 방식의 다양화 2
기호·근기 지방의 규방가사 - 신출가사 〈즌별가〉,〈효열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말 - 논의의 방향 = 222
2. 〈즌별가〉,〈효열가〉의 서지 사항과 자료적 가치 = 225
3. 〈즌별가〉와〈효열가〉의 기본적 구성과 서술상의 특성 = 230
4. 나오는말 -〈즌별가〉와〈효열가〉를 통해 본 규방가사 문화권의 전통과 변이 = 242
제3부 식민지 근대와 시가 장르의 동향
대중문화의 성립과 시가의 위상
1. 들어가는 말 - 근대의 변방에서 근대문화 바라보기 = 247
2. 19세기 도시문화의 형성과정과 전통 시가의 동향 = 251
3. 신 매체의 등장과 전통 시가의 운명 = 255
4. 나오는말 - 남는 문제를 대신하여 - 269
내지 사찰단이 바라본 일본
시찰단 보고문 『東遊感興錄』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271
2. 『동유감흥록』의 서지사항과 구성 = 274
3. 주입된 근대와 착종된 시선 = 278
4. 일제의 식민정책과 『동유감흥록』 = 290
5. 나오는말 - 20세기 이후 가사의 운명과 관련하여 = 294
일제 말 총동원 체제와 군국가요
1. 들어가는 말 - 군국가요와 젠더, 젠더 정치 = 297
2. 군국가요에 나타난 젠더의 배치와 젠더 이미지 = 201
3. 총력전 체제하의 젠더 정치와 군국가요 = 208
4. 나오는 말 - 군국가요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하여 = 319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