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일러두기 3
머리말 4
제1장 일본어 문자체계와 서기(書記)방법의 개성 13
「길들이기」와 「품종개량」 15
일본어 문자와 서기(書記) 방법의 개성 16
한자와 가나(假名)의 사용 구별 23
글자의 성립과 문자의 성립 25
외국어와의 경계에 있는 가타카나(片假名) 27
제2장 일본어에는 고유의 문자가 없었다 31
일본어에는 문자가 있었는...
더보기
목차 전체
일러두기 3
머리말 4
제1장 일본어 문자체계와 서기(書記)방법의 개성 13
「길들이기」와 「품종개량」 15
일본어 문자와 서기(書記) 방법의 개성 16
한자와 가나(假名)의 사용 구별 23
글자의 성립과 문자의 성립 25
외국어와의 경계에 있는 가타카나(片假名) 27
제2장 일본어에는 고유의 문자가 없었다 31
일본어에는 문자가 있었는가 33
국어와 모어 37
조기(早期)의 한자자료 38
일본어의 고유문자? 신대(神代)문자 41
제3장 고전 중국어의 문자를 빌려 일본의 사항을 적다 43
주술적 상징에서 행정의 도구로 45
중국어의 문자를 사용하여 일본어를 적다 49
한자를 어떻게 일본어화 할 것인가 50
일본어에 융화된 한어(漢語) 51
「국자(國字)」라는 길들이기 53
제4장 훈독(訓讀)―한자에 일본어를 붙여서 읽기 쓰기하다 55
다대다(多對多)의 관계로 연결되는 한자와 훈 57
한어(漢語)와 일본어의 융합 58
한자의 의미와 다른 훈독 60
한자에 의한 다시 만들기 62
제5장 음독(音讀)―고대 중국어를 일본어 어투로 발음하다 65
개음절화와 한자의 읽기 67
중국어의 발음체계와의 차이 69
음독의 삼층(三層) 71
읽을 수 없었던 「고구려」의 문서 77
한음(漢音)의 보급, 당음(唐音)의 수입 78
대중화된 한자 80
제6장 만요가나(萬葉假名)―한자로 일본어 발음을 나타내다 83
「가차(假借)」에서 고유의 문자로 85
차음가나(借音假名) 87
차훈가나(借訓假名) 89
제7장 한자와 일본어의 융합―8세기의 형제자매(兄弟姉妹)
개념과 어휘 93
7의 1 「형(兄) · 제(弟) · 자(姉) · 매(妹)」의 한자와 고대 일본어의 차이 97
「이모(いも)」 「세(せ)」는 연령의 상하(上下)에 구애받지 않았다 97
「아네(あね)」는 특별한 말, 「아니(あに)」는 없었다 99
일본 호적의 독자성 100
7의 2 702(大寶2)년도 미노국(美濃國) 호적의 「형(兄)?·?제(弟)?·?매(妹)」 101
7의 3 702(大寶2)년도 규슈 3국(三國) 호적의 「형(兄)?·?제(弟)?·?
제(?)?·?자(姉)?·?매(妹)」 105
「제(?)」 는 「자?매(妹姉)」 중의 「위」 108
「자(姉)」 는 「여자이며 연상」 110
7의 4 )721(養老5)년도 시모우사국(下總國) 호적의 「형(兄)?·
제(弟)?·?제 (?)?·?자(姉)?·?매(妹)」 111
「자(姉)」 용법의 혼란 113
7의 5 )계장(計帳)의 「형(兄)?·?제(弟)?·?자(姉)?·?매(妹)」와
노비적장(奴婢籍帳)의 「부(?)」 115
「자(姉)」 「매(妹)」를 연령으로 구별하기 시작하다 116
「부(?)」는 남편이 아니라 형제(兄弟) 118
7의 6 형제자매(兄弟姉妹) 관계의 표시와 일본어의 어휘 120
형제자매(兄弟姉妹) 관계의 용자(用字)의 변천과 어휘 123
「여자이며 연장자」의 좌표(座標)에 두 가지 어휘 127
7의 7 「길들이기」와 「다시 만들기」가 초래한 역사적 변화 128
「아네(あね)」의 침투가 어휘의 구조를 바꾸었다 128
「아네(あね)」의 어원 129
「아네(あね)」는 여계(女系)의 장(長)인가 132
「다시 만들어진」 형(兄) · 제(弟) · 자(姉) · 매(妹)의 어휘 135
제8장 한자로 일본어의 문장을 나타내다―고사기(古事記)
편찬자의 궁리 137
8의 1 )「모두 한자의 훈으로 기술하면 문장표현이 마음에 미치지
못한다」 140
8의 1의 1 접두어 「이로(いろ)」를 만요가나(萬葉假名)와 훈독으로 표기한
의도 142
어머니가 같으면 「이로(いろ)」를 덧붙여 읽어야 하는가? 아니다 143
같은 말을 표기 차이로 구별하다 147
8의 1의 2 「伊呂」 「同母」의 표시는 문맥을 이해하기 위한 주석이었다 148
같은 권력에서 협동하는 형제자매 149
「同母」는 통상적인 동모관계(同母關係)의 표시 154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정보 표시 156
8의 1의 3 접두사 「이로(いろ)」의 본래 뜻과 「伊呂」로 표기한 것 158
일본서기(日本書紀)는 기재방식이 다르다 159
원래는 친족 간의 밀접한 유대라는 뜻 163
8의 2 「모두 음으로 표기하면 내용이 너무 길어진다」 166
8의 2의 1 만요가나(萬葉假名) 글자체 차이로 구두점을 표시하다 167
동일한 성부(聲符)를 가진 문자와 특이자체(特異字體) 168
가요 7번을 끊어 읽기 위한 장치 171
8의 2의 2 오도리지(踊り字)에 의한 연속 표시 기능의 통제적인 사용 173
구(句) 중간에서 의미상 연결되면 오도리지(踊り字)를 사용한다 174
의미상 연결되면 구(句)의 앞머리라도 오도리지(踊り字)를 사용한다 176
8의 2의 3 가요 전후로 행이 바뀌었을 가능성 179
여러 사본에 남아 있는 행을 바꾼 흔적 180
문맥의 끊어 읽기를 표기하는 전통 184
8의 2의 4 가요에 사용된 구두점 표시 186
「한자가나혼용」의 선구(先驅) 192
변체가나의 사용구별에서 구두점으로 193
제9장))일상업무와 교양층의 한자사용―히라가나(平假名)·
가타카나(片假名)의 원류 195
9의 1 만요가나(萬葉假名)와 가나(假名)의 연속 · 불연속 198
고층(古層)의 만요가나(萬葉假名)가 가나(假名)로 이어지다 200
일상 업무용의 만요가나(萬葉假名)와 가나(假名)의 원류 201
9의 2 한자본래의 기능으로부터 탈피, 탁음표시의 느슨함 202
히라가나(平假名)?·?가타카나(片假名)는 탁음전용의 글자체를
가지지 않는다 204
9의 3 8세기 만요가나(萬葉假名) 자료의 실태 조사 206
청탁(淸濁) 인정 과정의 어려움 213
9의 4 8세기 만요가나(萬葉假名)의 전체상 215
사용 글자체의 차이를 수량화 하다 216
한자의 영역을 벗어난 청탁표시의 상관(相關) 219
공문서 종류의 표기가 속하는 층 222
9의 5 만요가나(萬葉假名)에서 가나(假名)로―「가치 있는 망각」 225
7세기에는 한자의 보급이 진행되었다 226
제10장 가나(假名)로 일본어의 문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229
만요가나(萬葉假名)로 쓰여 진 산문 231
만요가나(萬葉假名) 글자체의 변이가 가진 기능 235
한자의 양식과 일본어의 내용 238
만요가나(萬葉假名) 연쇄상의 구두법 239
히라가나(平假名)에 의한 표기로 243
보충설명(補說) 고대의 한자자료로서의 출토물 245
1 사본(寫本)과 현물(現物) 247
기기만엽(紀記萬葉)은 사본(寫本) 속에 존재한다 248
1차 자료로서의 정창원문서와 금석문 251
출토물은 1차 자료이다 253
2 문자자료, 언어자료로서의 성격 255
일상어의 반영 255
헤이안(平安) 시대 언어와의 연속면 258
3 출토자료의 취급방법과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 261
출토물의 본문 석독(釋讀) 자체가 해석이다 261
역사학과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 263
4 한반도의 출토물과의 비교?·?대조로부터 알 수 있는 것 267
문법이 유사하고 음운구조가 다른 이웃나라 언어 268
고유어를 표기할 때 음절말미자음(音節末尾子音)의 처리 269
오쿠리가나(送り?名)의 원류 272
부록) 시가라키궁(紫香樂宮) 유적 만요가(萬葉歌) 목간(木簡) 발견 277
와카(和歌)의 역사를 바꾼 자료 279
일자일음식(一字一音式) 279
「이야시노우타(癒しのうた)」 280
후기 283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