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유형 | 단행본 |
---|---|
개인저자 | 김선철 |
표제/저자사항 | 디지털 시대의 사전 /김선철 외 지음 |
발행사항 | 서울:한국문화사,2019 |
형태사항 | ix, 171 p. :사진,삽화;23 cm |
총서사항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과 언어학 총서;07 |
ISBN | 9788968175114 |
서지주기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기금정보주기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
No.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자료 위치 | 이용상태 | 예약 |
---|---|---|---|---|---|
1 | EM016126 | 701.3 김선83ㄷ | 문자언어 서가 | 이용가능 |
집단지식으로 대표되는 위키백과와 포털을 통해 제공되는 조합형 용어사전의 막강한 힘에 맞서 정통 백과사전의 현재적 의미가 무엇인지 앞으로 백과사전은 어떤 포지션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아야 했다. 아울러 디지털 사전의 총아인 멀티미디어 정보가 사전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 역사와 새로운 변화를 확인하는 일 역시 중요했다. 이 모든 부문의 상황...
머리말
1장∙인터넷 시대의 사전 편찬과 서비스 - 국립국어원 ‘우리말샘’을 대상으로 -
1. 머리말
2. ‘우리말샘’과 그 편찬 방법
2.1. ‘우리말샘’ 개요
2.2. ‘우리말샘’의 편찬 방법
3. ‘우리말샘’의 구축 현황
3.1. 시스템
3.2. 콘텐츠
4. 맺음말
2장∙해외 디지털 사전의 현재와 미래
1. 디지털 사전의 발전...
김선철
前 국립국어원 학예연구관
前 국립한글박물관 연구교육과장
논저에는 『국어 억양의 음운론』(2005), 『중앙어의 음운론적 변이 양상』(2006), 「통신언어 준말의 형성에 대한 음운론·형태론적 고찰」(2011), 「/ㅎ/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2012) 등이 있다.
도원영
現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사전학센터 부소장
논저에는 『국어 형용성 동사 연구』(2008), 『국어사전학 개론』(2009, 공저), 『한국학 사전 편찬 방법론의 모색』(2011, 공저), 『인문 융합형 사전 편찬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2016, 공저),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방안 연구」(2017),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용언 활용형 표제어의 처리에 관하여」(2018) 등이 있다.
배연경
前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초빙교수
논저에는 『사전에 길이 있다』(2009), 「사전 사용 연구의 현황과 의의」(2013) 등이 있다.
장경식
前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대표
現 한국백과사전연구소 대표
논저에는 「뿌리깊은나무-샘이깊은물, 전설로만 떠돌게 할 것이냐?」(2008),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구성과 특징」(2008), 「다중매체 시대의 백과사전-‘교육’의 효용을 중심으로」(201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 영어권의 다른 백과사전들」(2016), 「사전비평의 새로운 방향」(2019) 등이 있다.
정선우
(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연구교수
중국 북경대학 박사(현대한어 전공)
노석은
(현)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연구교수
중국 북경대학 박사(현대한어 전공)
조지연
現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연구원
논저에는 「친족어 어휘 교육에 대한 연구」(2009), 「접두사 [강-]의 의미 파생에 대하여」(2011), 「‘X+같다’ 형용사의 논항구조와 의미」(2012),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용언 활용형 표제어의 처리에 관하여」(2018, 공저) 등이 있다.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