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5
제1장 계몽 시대의 학문론 연구 대상과 방법
1. 연구 목적 15
2. 연구 대상과 방법 17
3. 선행 연구 26
제2장 근대 계몽기의 학문론과 어문 문제
1. 서론 33
2.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 문제 35
2.1. 갑오개혁 이전의 학문론과 한문체 35
2.2. 지식 보급을 위한 학문...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5
제1장 계몽 시대의 학문론 연구 대상과 방법
1. 연구 목적 15
2. 연구 대상과 방법 17
3. 선행 연구 26
제2장 근대 계몽기의 학문론과 어문 문제
1. 서론 33
2. 근대의 학문론과 어문 문제 35
2.1. 갑오개혁 이전의 학문론과 한문체 35
2.2. 지식 보급을 위한 학문론 41
3. 서구 학문 도입과 국어 문제 44
3.1. 서구 학문의 도입 과정 44
3.2. 신구 학문의 대립 50
3.3. 학문과 국어 교육 문제 54
4. 서구학 도입의 한계 62
제3장 근대 계몽기 교육학과 어문 교육
1. 머리말 69
2. 근대 계몽기 교육학의 위상 71
2.1. 근대 계몽기의 교과학과 교육학 71
2.2. 교육학의 성격과 학문적인 위상 논의 75
3. 교육학과 어문 교육 81
3.1. 어문 교과의 성격 81
3.2. 어문 교수법 84
4. 근대 계몽기 국어 교육의 한계 94
제4장 근대 계몽기의 교과교육과 교수법
1. 서론 99
2. 근대 계몽기의 교과 현상 103
2.1. 교과의 도입 103
2.2. 근대식 학제의 도입 108
2.3. 중학교 관제와 교육과정 문제 129
2.4. 보통학교령 이후의 교과 과정 개발과 한계 134
3. 교과론과 교수법 145
3.1. 글 배우기와 교과론 145
3.2.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학 163
3.3. 교수법 도입과 발전 169
4. 결론 175
제5장 언문일치의 본질과 국한문체의 유형
1. 서론 181
2. 언문일치의 본질 183
2.1. 언문일치의 개념 183
2.2. 근대 계몽기 언문일치의 성격 189
3. 국한문체의 유형과 성격 197
3.1. 근대 계몽기의 문장 형식 197
3.2. 부속 문자 유형 201
4. 결론 211
제6장 근대 이후 야학 운동과 교재
1. 서론 217
2. 야학 운동의 전개 219
2.1. 야학과?야학교 및 강습소 219
2.2. 국문 야학과 노동 야학 223
3. 야학 운동과 교재 231
3.1. 야학에서의 교재 사용 실태 231
3.2. 교재의 유형 236
4. 결론 241
제7장 일제의 동화 정책과 조선어학회의 항쟁
1. 들어가기 247
2. 식민 정책 변화와 일본어 보급 이데올로기 249
2.1. 우민화 시기의 동화 정책 249
2.2. 동화 이데올로기의 변화 259
2.3. 일어 사용자 증가에 따른 동화 정책 266
3. 조선어학회의 항쟁 270
3.1. 국문 사상의 민중성과 저항성 270
3.2. 한글 운동의 성격 277
4. 나오기 282
자료
1. 근대의 학문론 291
2. 국문과 교육 392
2.1. 교육 보급을 위한 국문 사용론 393
2.2. 처세법과 독서술 428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