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장 연구 대상과 방법 ...............................................................11
제2장 텍스트와 작가 .....................................................................19
1. 텍스트의 범위/ 20
1) 송강가사 텍스트...
더보기
목차 전체
제1장 연구 대상과 방법 ...............................................................11
제2장 텍스트와 작가 .....................................................................19
1. 텍스트의 범위/ 20
1) 송강가사 텍스트/ 20
2) 수용담론/ 23
3) 송강가사 수용 후대작품/ 28
2. 작가의 전기적 맥락/ 32
제3장 비평담론의 전개와 맥락 .................................................39
1. 기상정조론(氣象情調論)과 낭만적 문예사조/ 42
1) 기상론(氣象論)/ 42
2) 정조론(情調論)/ 51
3) 성당풍(盛唐風)과 표현론적 시가관/ 56
2. 형상조어론(形象造語論)과 사실적 문예사조/ 74
1) 언어미와 형상미의 담론/ 74
2) 진시(眞詩)의 추구/ 82
3. 주제론과 정치적 맥락/ 95
제4장 당대 문학관습을 통해 본 송강가사의 문예미 ..... 109
1. 금강산 시문과 서경가사를 통해 본 관동별곡/ 110
1) 형상조어미/ 113
2) 구조미/ 129
2. 연군시가와 애정시가를 통해 본 미인곡/ 158
1) 형상조어미/ 161
2) 구조미/ 173
제5장 후대 작품으로의 수용 양상과 맥락 ........................ 201
1. 기행가사의 관동별곡 수용/ 202
1) 형상조어의 수용양상/ 204
2) 구조의 수용양상/ 223
2. 연군시가와 애정시가의 미인곡 수용/ 256
1) 형상조어의 수용양상/ 267
2) 구조의 수용양상/ 280
3. 연행 맥락과 텍스트의 변전/ 311
1) 연행 맥락의 변전 양상/ 311
2) 가집(歌集) 소재 송강가사의 세속화 경향/ 323
제6장 수용론적 방법과 고전 작품의 역사적 의미 .......... 333
보론 1 송강가사 교육과 연구의 동향 및 전망 .................. 345
1. 들어가며/ 345
2. 송강가사 교육의 동향/ 348
3. 송강가사 연구의 동향/ 361
4. 민족문화와 심미적 대상으로서의 고전/ 371
보론 2 독자 중심적 비평의 방법과 고전시가의 해석 ..... 375
1. 들어가며/ 375
2. 독자 중심적 비평의 이론적 전제/ 378
1) 현상학과 해석학/ 380
2) 기호학적 구조주의와 심리학/ 385
3. 독자 중심적 문학이론의 적용과 쟁점/ 388
1) 해석적 준거의 문제: “정보화된 독자” 혹은 “해석적 공동체” / 388
2) 심미적 읽기와 원심적 읽기의 변증법/ 395
4. 나오며/ 400
▨ 참고문헌/ 403
▨ 찾아보기/ 414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