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부 고전시가의 기반
무가의 문학적 시원성(始原性) = 11
1. 무가의 문학성 = 11
2. 무가의 문학적 갈래 = 13
3. 무가의 문학 교육적 가치 = 59
민요의 문학적 특징 = 61
1. 서론 = 61
2. 금산지역 민요의 문학적 특징 = 63
3. 결론 = 75
...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부 고전시가의 기반
무가의 문학적 시원성(始原性) = 11
1. 무가의 문학성 = 11
2. 무가의 문학적 갈래 = 13
3. 무가의 문학 교육적 가치 = 59
민요의 문학적 특징 = 61
1. 서론 = 61
2. 금산지역 민요의 문학적 특징 = 63
3. 결론 = 75
민요에 나타난 민중의 삶과 정서 = 77
1. 서론 = 77
2. 금강유역 민요 개관 = 80
3. 사설에 나타난 민중들의 삶과 정서 = 82
4. 민요 전승의 과제 = 95
판소리 단가의 작시 원리 = 97
1. 단가의 성격 = 97
2. 단가의 작시 원리 = 103
3. 단가의 주제와 세계관 = 123
제2부 고전시가의 이념
고려가요 문헌전승설 변증(辨證) = 127
1. 문제 제기 = 127
2. 구비전승설과 문헌전승설 = 128
3. 문헌 기록을 통해 본 전승 양상 = 133
4. 작품의 편사(編詞) 개작 과정 검증 = 144
5. 고려시가 전승의 재정립을 위하여 = 149
매월당 김시습의 문학관과 시 정신 = 151
1. 불우한 시대의 이단아 = 151
2. 매월당의 방외인적 성격과 문학관 = 152
3. 매월당 시의 현실 인식 = 158
4. 매월당 시의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의의 = 168
송순의 시세계와 이념 = 170
1. 사림파의 성장과 송순 = 170
2. 송순의 시세계 = 173
3. 송순 시조의 특성 = 176
4. 송순 시조의 국문학사적 의의 = 185
송강 시가의 재조명 = 187
1. 제기되는 문제점 = 187
2. 〈성산별곡〉과〈관동별곡〉 = 189
3. 〈사미인곡〉과〈속미인곡〉 = 203
4. 송강의 연시조 = 218
5. 남은 과제들 = 228
조선후기 한시에 나타난 개혁론의 양상 = 232
1. 시대적 배경 = 232
2. 문학관의 변이 = 233
3. 개혁론의 양상 = 236
4. 위항문학의 의의 = 246
제3부 고전시가의 지향
향가의 시적 정서 = 251
1. 향가의 문학적 본질 = 251
2. 향가의 시적 정서 = 253
3. 향가의 문학성 회복을 위하여 = 272
허난설헌, 욕망의 시학 = 274
1. 허난설헌 시를 보는 태도 = 274
2. 욕망의 표출 양상과 자의식 발현 = 278
3. 허난설헌 글쓰기의 여성 정체성 = 291
4. 여성 영역의 확장과 회복, 그 슬픈 시선 = 295
시조에 나타난 ''님''의 형상 = 297
1. 시가문학과 ''님'' = 297
2. ''님''의 사용 실태 = 298
3. ''님''의 본질 = 302
4. ''님''의 형상 = 307
5. 맺음말 = 315
가사 장르론의 전개와 지향 = 316
1. 가사의 장르적 인식 = 316
2. 장르론의 전개 = 317
3. 장르론의 새로운 지향 = 323
4. 맺음말 = 327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