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문말앞 형태소의 통사적 지위에 대하여 / 서정목 = 13
1. 도입 = 13
2. 시제(Tense) = 16
3. ''추측''의 인식 양태 = 21
4. 발화시와 인식시의 선동(先同) 관계 = 29
5. 정리 = 47
''-으시-'' 일치의 통사론 / 이정훈 = 53
1. 도입 = 53
2. 일치의 통...
더보기
목차 전체
머리말 = 5
문말앞 형태소의 통사적 지위에 대하여 / 서정목 = 13
1. 도입 = 13
2. 시제(Tense) = 16
3. ''추측''의 인식 양태 = 21
4. 발화시와 인식시의 선동(先同) 관계 = 29
5. 정리 = 47
''-으시-'' 일치의 통사론 / 이정훈 = 53
1. 도입 = 53
2. 일치의 통사론 = 55
3. 계사 구문의 통사론 = 67
4. 계사 구문에서의 ''-으시-'' 일치 = 78
5. 정리 = 100
상과 시제 / 우창현 = 107
1. 도입 = 107
2. 기존 논의 = 112
3. 문장 차원에서의 상 해석과 상 해석 규칙 = 116
4. 상 해석에서의 중의성 문제 = 134
5. 정리 = 152
양태 어미의 사적 변화: ''-ㄴ지'', ''-ㄹ지'' / 정혜선 = 157
1. 도입 = 157
2. 기본 논의 = 161
3. ''-ㄴ지''의 사적 변화 = 178
4. ''-ㄹ지''의 사직 변화 = 185
5. 정리 = 191
화자의 시점으로 본 한국어 양태 표현 교육 : ''-는 것 같다''와 ''-나 보다''를 중심으로 / 오승은 = 195
1. 도입 = 195
2. ''화자의 시점''에 의한 양태적 의미 = 203
3. 양태 어미의 통사적ㆍ담화적 의미 = 209
4. 한국어 학습용 사전과 교재에서의 문법 기술과 담화 상황 = 224
5. 정리 = 256
명령문의 범위와 명령형 어미의 기능 변화 / 박미영 = 261
1. 도입 = 261
2. 명령문의 범위와 관련 범주 = 265
3. 명령형 어미의 변화 = 283
4. 정리 = 291
현대국어의 통합형 종결어미 : 인용구성과 접속어미의 융합 형식을 대상으로 / 배은나 = 297
1. 도입 = 297
2. 통합형 종결어미 연구를 위한 기본 논의 = 305
3. 통합형 종결어미의 증거 양태적 특징 = 332
4. 정리 = 338
청자경어법의 형태원리와 체계 : 근대국어와 개화기국어를 대상으로 / 남미정 = 345
1. 도입 = 345
2. 청자경어법의 형태원리 = 350
3. 청자경어법의 체계 = 372
4. 정리 = 382
절 접속의 의미와 통사 / 박진희 = 389
1. 도입 = 389
2. 절 접속의 통사적 지위 = 390
3. 절 접속의 의미관계 = 401
4. 절 접속의 문법적 특성 = 428
5. 정리 = 435
접속문의 성립과 ''더해감'' 접속문 / 장요한 = 441
1. 도입 = 441
2. 접속문의 성격과 의미 관계 = 443
3. 의미 범주로서 ''더해감''의 성립 = 451
4. 중세국어 ''더해감'' 접속어미 = 459
5. 정리 = 475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을 위한 문법 기술 / 오경숙 = 481
1. 도입 = 481
2. 문법 기술의 대상과 내용 = 485
3. ''-었다가''의 문법 기술 = 492
4. 정리 = 516
찾아보기 = 521
펼쳐보기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