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병와가곡집''의 편찬 양상과 가집사적 특질
제Ⅰ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대상
2. 연구사 검토와 연구 범위
1) ''병와가곡집''의 연구사적 쟁점
2) 연구 범위
제Ⅱ장 ''병와가곡집''의 편제 개관
제Ⅲ장 ''병와가곡집''의 편찬 양상
1. ''병와가곡집''의 구성 및 체재
1) 악곡과 노랫말의 조화 : ‘권...
더보기
목차 전체
제1부 ''병와가곡집''의 편찬 양상과 가집사적 특질
제Ⅰ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대상
2. 연구사 검토와 연구 범위
1) ''병와가곡집''의 연구사적 쟁점
2) 연구 범위
제Ⅱ장 ''병와가곡집''의 편제 개관
제Ⅲ장 ''병와가곡집''의 편찬 양상
1. ''병와가곡집''의 구성 및 체재
1) 악곡과 노랫말의 조화 : ‘권수’
2) 가곡에 대한 인식의 변화 : 본문
2. ''병와가곡집''의 수록 작가와 작품
: ''(진본) 청구영언'', ''(주씨본) 해동가요''와의 대비
1) 작가층의 확대와 고증(考證)
2) 수록 작품의 취재(取材) 범위
3. ''병와가곡집''의 문헌적 특성
제Ⅳ장 ''병와가곡집''의 가집사적 특질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의 ''(김씨본) 시여'',
''(가람본) 청구영언'', ''(서울대본) 악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 비교 대상 가집의 범위와 체재
2. ‘작품의 악곡’에 대한 해석과 인식의 변화상
1) 다양한 해석과 공통된 인식
2) 새로운 해석과 상이한 인식
3. ‘수록 작품’의 전승 및 전개 과정
1) 작품 수록의 전통 계승
2) 새로운 수록 양상의 전개
4. ‘작품의 작가’에 대한 판단
1) 보편적 인식의 확대 과정
2) 무명씨 작품의 의미
제Ⅴ장 ''병와가곡집''의 가집사적 위상
제Ⅵ장 결론
제2부 18세기의 가집 연구
제Ⅰ장 ''고금명작가''의 편찬 체재와 작품 수록 방식
1. 문제 제기
2. 고금(古今)의 명작(名作)으로 구성된 ''고금명작가''
3. 고금 명작의 수록 방식과 그 의미
4. 맺음말
제Ⅱ장 ''고금가곡(남창본)''의 실증적 재조명
1. 문제 제기
2. ''고금가곡''에 관한 몇 가지 오해
3. ''고금가곡''의 체재와 그 주제적 관심
4. 맺음말
제Ⅲ장 ''동가선''의 주제어 분포와 주제 인식
1. 문제 제기
2. ''동가선''의 편찬과 고시조의 주제 분류
1) 편찬 배경과 가집의 편제
2) 주제어 분포
3. 고시조의 주제 인식과 수용 태도
1) ‘충(忠)’ : 충절의 강조와 우조(羽調) 지향(志向)
2) ‘사(思)’ : 연정의 표출과 성적 표현의 배제
3) ‘개(慨)’ : 분개하는 마음과 개세적(慨世的) 태도
4. 맺음말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