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역사채널 [DVD 녹화자료] .10-2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시각/영상자료
단체저자명이비에스.
표제/저자사항역사채널[DVD 녹화자료].EBS 제작
발행사항서울:EBS,2016
형태사항DVD 1매(5분):유성, 천연색;12 cm
일반주기 화면비율 : 16:9 ANAMORPHIC WIDESCREEN
오디오 : Dolby Digital 2.0 Stereo 한국어
지역코드 : ALL NTSC / Single Layer
내용주기1. 전차, 한성을 달리다 --2. 조선, 전화를 만나다 --3. 불변의 악기 편경 --4. 비운의 대문, 돈의문 --5. 너무 늦은 조선의 세계여행 --6. 우장춘 --7. 그리움을 실은 38우편물 --8. 17 vs 1 전설의 승리 --9. 배달의 역사 --10. 보부상 --11. --12. --13.
요약01. 전차, 한성을 달리다-신문물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으로 정식 개통된 지 열흘 만에 중단되었다가 다시 운행을 재개한 전차. 서울 시민의 발로 많은 것을 바꿔놓으며 근대화의 첫 번째 기수 역할을 하는 등 대한제국 사람들을 울리고 웃긴 쇠당나귀 전차를 재조명한다. 02. 조선, 전화를 만나다-조우한지 얼마 안 된 조선 시대에는 사용하기 전 예를 갖춰야만 했던 전화. 일제가 대륙침략과 식민지 경영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며 보급됐던 전화가 어떻게 들어와 지금까지 발전하게 되었는지 전화 역사를 재조명한다. 03. 불변의 악기 편경-송나라에서 들여왔으나 조선만의 것으로 재탄생한 악기. 돌로 만든 단순한 구조지만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음정·음색이 변함없는 음정 불변의 악기로 6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모든 아악의 표준음이 되는 편경을 재조명한다. 04. 비운의 대문, 돈의문-동서남북 4개의 큰 문과 4개의 작은 문이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던 한양의 도성. 그러나 1915년 일제의 전차 궤도 복선화로 형체도 없이 완전히 사라져버리고, 이후 다른 대문과 달리 다시 세워지지 못한 비운의 서쪽 대문인 돈의문을 재조명한다. 05. 너무 늦은 조선의 세계여행-을사늑약 체결 후 전 국민을 충격에 휩싸이게 한 어느 관료의 자살 소식.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세계 일주를 다녀와 서구열강의 선진문물을 접했던 민영환이 결국 자살을 선택하게 된 안타까운 이야기를 통해 너무 늦은 조선의 세계여행을 재조명한다. 06. 우장춘-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해 친일 매국노가 되어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버지 때문에 한국과 일본 사이를 맴돌았던 비운의 천재. 해방 이후 심각한 식량난에 직면한 시기, 우리 농업을 과학적·자주 자립의 단계로 도약시켰던 우장춘을 재조명한다. 07. 그리움을 실은 38우편물-광복 후 남북으로 갈린 한반도, 그리고 지금은 제3국을 거쳐야만 가능한 남과 북의 서신 교환. 6·25전쟁 직전까지 38선이 있었음에도 헤어진 가족의 생사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였던 남북 간의 그리움을 실은 38우편물을 재조명한다. 08. 17 vs 1 전설의 승리-대승의 기록을 남긴 제1차 진주성전투와 달리 패전으로 기록된 제2차 진주성전투. 폭우로 동문 성벽이 무너져 내리자 그 틈으로 밀려온 왜군에 의해 끝내 진주성은 함락되었지만, 사실상 임진왜란의 끝을 만든 17 vs 1 전설의 승리를 재조명한다. 09. 배달의 역사-깊은 새벽, 유명한 맛집의 해장국을 배달 시켜먹던 조선의 풍경. 각종 탕, 냉면, 국밥, 비빔밥 등 1930년대부터 널리 퍼진 음식배달 문화는 오토바이와 철가방을 낳았는데, 한국인의 일상에 큰 영향을 끼친 배달의 역사를 재조명한다. 10. 보부상-살아서 이익이 없고, 죽어도 손해 없는 자들이 모여 만든 조선 최초의 상인조합. 파산한 농민이나 몰락한 양반 또는 노비 출신인 이들이 서로를 지키기 위해 만들었으며, 체계적인 연락망과 엄격한 윤리강령을 갖춘 보부상을 재조명한다.
시스템사항주기DVD 플레이어; DVD 롬 장착pc
일반주제명다큐멘터리
비통제주제어역사채널,역사,채널,DVD,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AV000871 DV 911 이48ㅇ v.10-2 영상자료실 서가 이용가능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