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
목차
ㆍ 서문
한국어사에서 20세기 초 한국어의 위상과 문법 특징
1. 머리말
2. 현대 한국어의 설정과 20세기 초
3. 20세기 초 한국어 문법의 언어사적 경향성
4. 마무리
구어 연구와 운율: 소리를 담은 의미?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성학?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1. 구어와 문어, 그리...
더보기
목차 전체
목차
1
목차
ㆍ 서문
한국어사에서 20세기 초 한국어의 위상과 문법 특징
1. 머리말
2. 현대 한국어의 설정과 20세기 초
3. 20세기 초 한국어 문법의 언어사적 경향성
4. 마무리
구어 연구와 운율: 소리를 담은 의미?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성학?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1. 구어와 문어, 그리고 운율
2. 구어 운율 단위의 길이,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
3. 구어의 운율 구조와 속담의 운율 구조
4. 부정문의 중의성과 중의성 해소 전략, 그리고 부정 표현의 비대칭성
5. 운율적 측면을 고려한 언어 연구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국어의 문법적 특징
1. 머리말
2.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
3. 20세기 초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적 특징
4. 마무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고찰
1. 머리말
2.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현황
3.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 분류
4.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별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초 구어 연구를 위한 문어 텍스트의 활용 문제
1. 머리말
2. 구어와 문어, 구어체와 문어체
3. 구어 연구에 활용 가능한 문어 텍스트
4. 신문 만화와 집담회 자료의 구어적 특성 분석
5. 마무리
구어에 나타난 운율적 실현의 문법적 해석
1. 머리말
2. 기존 구어 연구의 한계와 구어 연구의 방법론
3. 운율적 실현의 특징
4. 문법 기술에서 운율적 실현의 해석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종결형 양상
1. 머리말
2. 연구 방법
3.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종결형의 계량적 특성
4. 20세기 전기 구어의 종결형 양상 및 특징
5. 마무리
현대국어 초기 구어체의 실현과 문학적 수용
1. 머리말
2. 현대국어 구어의 형성
3. 언문일치 운동과 구어체 실현
4. 문학 작품에서의 구어체 수용
5. 마무리
근대 전환기 개화 지식인의 ‘국문/언문’에 대한 인식과 구어체 글의 형성
1. 머리말
2. 한글 표기와 구어체 글의 역사성
3. 근대 전환기 지식인의 ‘국문/언문’ 인식과 구어체
4.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의 격조사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1. 머리말
2. 격조사 사용 양상의 계량적 분석
3. 20세기 전기 구어의 격조사 실현의 특징
4. 20세기 전기 구어의 격조사 비실현의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국어의 보조사 연구
1. 머리말
2. 보조사의 계량적 현황
3. 조사 결합형의 계량적 현황
4. 20세기 전기 보조사의 특징: ‘요, 야’를 중심으로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실현 양상
1. 머리말
2. 연구 자료
3. 20세기 전기 구어의 정도부사
4. 20세기 전기 구어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자료 유형별 특징
5. 마무리
20세기 음성 자료에서 나타나는 체언 말 자음의 교체 현상
1. 머리말
2. 연구 자료
3. 체언 말 자음의 교체에 관한 계량적 분석
4. 20세기 현대국어에서 체언 말 자음의 교체 양상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모음상승 연구
1. 머리말
2.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3.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모음상승의 특징
4. 마무리
2
목차
서문
구어와 문어를 아우르는 사용자 중심의 한국어 문법
1. 머리말
2. 구어와 문어
3. 구어의 연구
4. 현대 한국어 구어의 자료
5. 구어 중심의 문법: 사용자 중심의 문법?
6.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감탄사에 대한 어휘론적 고찰
1. 머리말
2. 20세기 전기 구어 말뭉치를 통한 감탄사 분석
3. 국어사전 감탄사 목록과의 비교
4. 마무리
20세기 초 베를린 한인 음원의 음운과 형태
1. 머리말
2. 자료 및 연구 방법
3. 결과 및 논의
4. 마무리
20세기 현대국어 구어 자료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변화 양상
1. 머리말
2. 자료
3.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정도부사
4. 20세기 구어에 나타난 정도부사의 변화 양상
5. 마무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의 '안' 부정법
1. 머리말
2. 형태적 특성
3. 분포적 특성
4. 기능적 특성
5. 마무리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요'의 분포와 기능의 변화
1. 머리말
2. 20세기 '요'의 분포 양상
3. 사용역별 '요'의 쓰임의 변화
4. 마무리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나는 '여보'류의 사용 양상 변화
1. 마무리
2. 연구 자료
3. '여보'류의 시기별 실현 양상에 대한 계량적 분석
4. '여보'류 사용 양상의 변화
5. 마무리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하오체 어미 {-오}의 실현 양상 변화
1. 머리말
2. {-오}의 대우 등급 하락
3. '-오/소'와 '-우/수'의 분화
4. {-오} 사용의 위축
5. 마무리
20세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명령형 어미의 실현 양상 변화
1. 머리말
2. 20세기에 발생한 명령형 어미의 변화 개관
3. 명령형 어미와 {-시-}의 결합 비율 변화
4. 해라체 명령형 어미의 변화
5. 마무리
사용자 문법으로 본 구어 중심의 한국어의 상대 높임 표현과 그 교육
1. 머리말
2. 사용자 중심 문법과 구어 중심 문법
3. 한국어 상대 높임 표현의 오늘
4. 상대 높임 표현의 실태와 교육
5. 마무리
국어과 교재의 상대 높임 화계 설정과, 구어 현실
1. 머리말
2. 상대 높임의 화계 설정 실태와 구어 현실
3. 사용자 중심 교재의 상대 높임 화계
4. 마무리
유길준의 국문 인식과 근대 전환기 언문일치의 실현 문제
1. 머리말
2. 언문일치와 국문, 구어체
3. 유길준의 국문 인식과 실천
4. 마무리
더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