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한국 신화를 찾아서 [비디오녹화자료] . 2 , 여신의 비밀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시각/영상자료
개인저자조한선
김성화
오석훈
단체저자명한국교육방송공사
표제/저자사항한국 신화를 찾아서[비디오녹화자료].조한선,김성화,오석훈 [공]연출 ;EBS 기획.
발행사항서울:EBS 미디어센터 [공급],[2009]
형태사항비디오디스크 2매:유성, 천연색;12 cm
총서사항(EBS) 다큐 프라임.
총서부출표목(EBS) 다큐 프라임
제작진주기제작진: 책임프로듀서, 김봉렬 ; 프로듀서, 류재호 ; 글·구성, 고은주 ; 촬영감독, 장상일 ; 종합편집, 편집마을, 김남진 ; 음악, 권성모 ; 연출, 조한선, 김성화, 오석훈 ; 내레이션, 김상현
요약혼돈으로부터 세상을 빚어내고, 산에 머물며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었던, 한국의 여신들! 여신들은 신화 속 남신들의 등장 이전부터 존해하고 있었다. 물이며 버드나무였던 주몽의 어머니 '유화', 우물가 계룡의 옆구리에서 태어난 신라 박혁거세의 아내 '아령', 가야의 김수로왕을 찾아 바다를 건너온 연인 '허황옥' 등은 왕의 아내와 어미라는 이름 뒤에 감춰졌던 물의 여신들이었다. 그리고 한국에는 또 다른 여신 '마고'가 있었다. 한국의 대표적인 마고로는 제주도의 '설문대'를 뽑을 수 있다. 사람들은 설문대를 '설문대할망'이라 불렀으며 몸집이 거대할 뿐 아니라 일하는 것을 좋아하여 흙을 퍼다 마음에 드는 곳에 내려 놓으면 그곳은 산과 들, 그리고 기암괴석이 되었다. 때문에 설문대할망을 창조의 여신으로 불렀다. 이외에도 여러 여신들의 신화를 알아보고, 여신들이 본래의 위상을 잃고 사라지게 된 배경을 이 땅에 군림했던 여신들의 흔적을 통해 찾아본다.
이용대상자주기전체 관람가
시스템사항주기DVD-Video ; Dolby Digital Stereo ; 4:3 Letter Box ; 지역코드: ALL ; Single Layer
비통제주제어한국,신화,여신,EBS,다큐프라임,다큐멘터리,DVD,
일반용주기사운드트랙: 한국어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AV000570 DV 219.11 조92ㅎ v.2 영상자료실 서가 이용가능
2 AV001347 DV 219.11 조92ㅎ v.2 c.2 영상자료실 서가 이용가능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