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조선의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 : 무지와 오해로 얼룩진 사극 속 전통 무예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최형국
표제/저자사항조선의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무지와 오해로 얼룩진 사극 속 전통 무예 /최형국 지음
발행사항서울:인물과사상사,2016
형태사항235 p. :삽화,초상화(또는 인물사진);21 cm
ISBN9788959064045
서지주기참고문헌: p. [229]-235
비통제주제어조선,무인,전통무예,사극,검술,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7598 392.4 최형16ㅈ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저자의 말 : 역사는 미래를 보는 거울이다
들아가는 말 : 무예사와 군사사 고증은 생존의 문제

1부 조선 무인의 무기 사용법
      도와 검은 무엇이 다른가
      환도는 허리에 차고 다녔다
      당파는 찌르는 무기가 아니다
      장창은 단 한 번만 찌른다
      조총과 화포 쏘기
      활은 어떻게 쐈을까?
 ...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최형국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무예 24기를 29년간 수련한 무사武士이자 무예인문학자다. 중앙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에서 한국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경기대학교 연구원(Post-doc)을 거쳐 문화사와 무예사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수원시립공연단 무예 24기 전수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조선무사』(2009), 『조선후기 기병 전술과 마상무예』(2013), 『조선군 기병 전술 변화와 동아시아』(2015), 『정조의 무예사상과 장용영』(2015), 『조선의 무인은 어떻게 싸웠을까?』(2016), 『무예 인문학』(2017), 『병서, 조선을 말하다』(2018), 『조선후기 무예사 연구』(2019), 『제국의 몸, 식민의 무예』(2020), 『정조, 무예와 통하다』(2021), 『조선군 진법 속 무예와 전술신호』(2021), 『궁술, 조선의 활쏘기』(2022) 등이 있다. 『무예도보통지』를 번역한 『정조, 무예와 통하다』는 2021년에 롯데출판문화대상 본상을 받았으며 2022년에는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에 선정되었다. 「조선시대 편전(애기살)의 활쏘기 특성과 위상」(2022), 「『병학통』의 전술과 화성행행 「반차도」의 무예 시위군 배치 관계성 연구」(2021), 「『무예도보통지』의 「예도」 자세 분석과 「본국검」과의 연관성 연구」(2020), 「『조선무사영웅전』의 저술 의미와 근대적 신체인식」(2019), 「1949년 『무예도보신지』의 출판과 민족 무예의 새로운 모색」(2018), 「‘협도’의 탄생」(2017), 「조선후기 권법의 군사무예 정착에 대한 문화사적 고찰」(2016), 「18세기 활쏘기(國弓) 수련방식과 그 실제」(2015) 등 40여 편의 무예사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연출한 작품으로는 수원화성문화제 폐막연 〈야조夜操〉(2018~2019)와 논버벌 타악극 〈무사&굿〉, 무예 뮤지컬 〈관무재觀武才, 조선의 무예를 지켜보다〉(2017), 무예 24기 시범 상설 공연 〈장용영壯勇營, 진군의 북을 울리다〉 등이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