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중국 문자학 강의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허진웅
조용준
표제/저자사항중국 문자학 강의/許進雄 지음,조용준 옮김
발행사항서울:고려대학교출판부€,2013
형태사항595 p. :삽화;25 cm
부분표제中國文字學講義簡明中國文字學
ISBN9788976417824
서지주기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비통제주제어한자,
일반용주기중국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6520 721.2 허78ㅈ 문자언어 서가 이용가능
2 EM008466 721.2 허78ㅈ c.2 서고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황계방黃啓方의 서문 
 저자 서문 
 한국어판 서문 
 일러두기 

 서론 - 중국 문자학의 개요 

 본론 - 중국 문자학의 주요 내용 
 제1절 중국 문자의 체계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제2절 글 쓰는 방향의 습관 
 제3절 문학 형식의 특징 
 제4절 주요 서체 
1. 갑골문甲骨文 
2. 금문金文 
3. 소전체小篆體 
4....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서평

  • 서평
중국문자 해설이 주된 책 [ 신춘희 | 2021-05-12 ] 2 | 추천 (0)

중국문자학 강의, 허진웅 저, 조용준 옮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3.

   우선, 한자가 중국문자학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것에 대하여 동의할 수 없다.

   한 면당 글씨가 아주 많다. 595면. 빌려온 책 중에 두께도 가장 두껍지만 관심을 끄는 곳이 많아 잘 읽힌다. 가끔 글씨가 너무 많아 졸립기도 하지만, 되짚어 열심히 읽을만 하다.

   뒷부분은 문자 하나하나에 대한 해설을 시대별로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본문에 다시 풀어썼는데, 책의 대부분이 이렇게 426자를 해결하는데 소모하였다.

   갑골문과 금문을 폰트로 사용했다. 황패영 교수가 개발한 컴퓨터 자형이라고 한다. 이 폰트를 갖고싶다. 문자학 논문에 아주 유용할 폰트이다.

  '문'과 '자'에 대한 논의가 일반적인 연구와 반대로 서술되어 있는 등 수용하기 힘든 논의가 몇가지 있다.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