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21세기에 다시 보는 한국근현대사 [DVD 녹화자료] .제1강 ,동아시아 국제 정세 변화와 한반도의 위기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시각/영상자료
개인저자허동현
단체저자명한국교육방송공사.
표제/저자사항21세기에 다시 보는 한국근현대사[DVD 녹화자료].EBS [편]
발행사항서울:EBS,[2016]
형태사항DVD 1매(45분):유성, 천연색;12 cm
총서사항(EBS) 역사특강.
총서부출표목EBS 역사특강이비에스 역사특강
일반주기 더빙: 한국어
방영일: 2014.01.30
제작진주기제작진: 책임프로듀서, 김현주 ; 프로듀서, 권오민 ; 카메라감독, 여운길, 송대갑, 정호균, 임영환 ; 종합편집, 박창욱, 김남훈 ; 연출, 김혜정
연주자와 배역진강사: 허동현
요약18세기 중엽, 동아시아에 새로운 바람이 불어왔다. 서구 제국주의 세력이 동아시아의 시장을 노리기 시작한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와 일본, 조선 동아시아 3국은 서구 세력의 등장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가장 먼저 변화를 보인 곳은 일본이었다. 일본은 1854년 미국 페리 제독에 의해 개항하고 불평등 조약을 체결한 후 서구 근대 문물에 충격을 받고 적극적으로 이를 수용하게 된다. 그 결과 일어난 일이 바로 1867년의 메이지 유신이다. 이는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체제를 세우는 것으로, 지방분권체제인 막부체제를 마감하고, 서구의 근대적인 문물은 물론 제도까지 도입하는 움직임이었다. 1910년 한일병합조약을 맺으며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한 조선. 이 비참한 역사의 가장 큰 원인은 스스로의 힘을 키우지 못하고 주변 강대국들의 힘에 기대려했던 지배층의 무능력이었다. 한 세기가 지난 오늘날 한반도의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여전히 일본과 중국, 러시아, 미국이라는 강대국이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으며 우리의 운명은 이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위태롭게 흔들리고 있다. 100여 년 전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며, 우리가 그때 겪은 실패의 원인은 무엇이었으며, 오늘날 국제 정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용대상자주기[전체 관람가]
시스템사항주기DVD 플레이어; DVD 롬 장착pc
일반주제명역사
비통제주제어21세기,한국근현대사,역사,한국사,DVD,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AV000433 DV 911.06 한16ㅇ v.1 영상자료실 서가 이용가능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