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논어로 맹자를 읽다 :이한우의 사서삼경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한우1961-
표제/저자사항논어로 맹자를 읽다:이한우의 사서삼경 /이한우 지음
발행사항해냄출판사,2015
형태사항1054 p. ;24 cm
ISBN9788965744726
일반주제명맹자(사서)[孟子]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6383 152.226 이한66ㄴ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들어가는 글_ 왜 『맹자』는 풀지 않고 읽었는가?

양혜왕 장구 상
양혜왕 장구 하
공손추 장구 상
공손추 장구 하
등문공 장구 상

등문공 장구 하
이루 장구 상
이루 장구 하
만장 장구 상
만장 장구 하
고자 장구 상
고자 장구 하
진심 장구 상
진심 장구 하

저자소개

  • 저자소개

이한우 
구분 : 저서
국적 : 대한민국
분류 : 인문/철학자 , 역사/종교학자 , 기타 
인기지수 : 195
반디추천 : 2회선정


최근저서
ㆍ[저서]사람 그리고 실천
ㆍ[역서]심경부주
ㆍ[저서]이한우의 사서삼경 사서 전 4권세트
ㆍ[저서]왕비의 하루



저자 이한우는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 철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 《조선일보》로 옮겼다. 2002~2003년 논설위원을 지낸 후 문화부 기자로 학술과 출판 관련 기사를 썼고, 지금은 여론독자부장으로 근무 중이다. 10여 년에 걸쳐 『조선왕조실록』을 탐독하며 조선 군주의 리더십 연구에 몰두해 온 저자는 인문학적 깊이와 감각적 필치가 돋보이는 《이한우의 군주열전》 시리즈, 즉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성종: 조선의 태평을 누리다』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를 펴냈고, 조선의 사상적 기반을 추적하는 데 있어 공자 사상에 주목해 『논어』로 사서삼경을 풀이하는 《이한우의 사서삼경》 시리즈를 기획, 『논어로 논어를 풀다』 『논어로 중용을 풀다』『논어로 대학을 풀다』를 세상에 내놓아 동양철학에서 정치학까지 학계의 주목을 두루 받고 있다. 또 조선 당쟁의 숨은 실력자인 구봉 송익필의 생애를 생생하게 복원하고 그 사상을 입체적으로 조명한 『조선의 숨은 왕』, 조선사의 다양한 이면을 다루는 『조선사 진검승부』 『왜 조선은 정도전을 버렸는가』 『왕의 하루』 『조선을 통하다』, 고려사의 역동적 순간을 담은 『고려사로 고려를 읽다』, 공자의 생애와 사상을 정리한 『슬픈 공자』 등도 그간의 연구 성과 중 하나다. 그 외에도 『우남 이승만, 대한민국을 세우다』와 사회비평서 『한국은 난민촌인가』 『아부의 즐거움』 등을 출간했다. 역서로는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역사의 의미』 『여성 철학자』 『폭력사회』 『안전의 원칙』 등 역사와 사회철학 분야를 아울러 20여 권이 있다.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