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상세정보

  • 상세정보

부가기능

사물로 본 조선

상세 프로파일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규장각한국학연구원
표제/저자사항사물로 본 조선/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
발행사항파주:글항아리,2015
형태사항361 p.:삽화;22 cm
총서사항규장각 교양총서 ;11
총서부출표목규장각 교양총서 ;11
ISBN9788967351786
비통제주제어책판,무예도보통지,

소장정보

  • 소장정보

소장정보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 위치 이용상태 예약
1 EM005706 911.05 규장12사 인문교양 서가 이용가능

목차

  • 목차

목차 일부

규장각 교양총서를 발간하며 
머리글|조선의 사물에서 듣는 옛사람들의 이야기 

1장 건축, 조선의 일상을 담는 그릇 
_한옥의 역사와 전통 | 전봉희·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2장 책판에 새겨진 유구한 세월, 활자와 이미지의 향연
_서적 간행의 도구와 방법들 | 조계영·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3장 책상머리 맡에서 만들어진 수차, 그 숱한 노...

more더보기

목차 전체

저자소개

  • 저자소개

노영구 | 국방대 군사전략학부 교수. 저서 『영조 대의 한양 도성 수비 정비』, 공저 『한국군사사』 7(조선후기Ⅰ), 『조선중기 무예서 연구』, 역서 『양반』, 논문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 외 다수.
문중양 |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우리역사 과학기행: 역사 속 우리 과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조선후기 수리학과 수리 담론』, 공저 『동서양의 문명과 한국』, 역서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외 다수.
목수현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공저 『시대의 눈』 『대한제국』, 논문 「망국과 국가 상징의 의미 변천: 태극기, 오얏꽃, 무궁화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국가 상징 시각물의 위상 변천─애국의 아이콘에서 상표까지」 외 다수.
박현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저서 『조선후기의 과거』, 공저 『고문서에게 물은 조선 시대 사람들의 삶』 『조선 서원을 움직인 사람들』, 논문 「16~17세기 예안현 사족사회 연구」 외 다수.
송지원 |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 저서 『정조의 음악정책』 『한국 음악의 거장들』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공저 『새로 쓰는 예술사』, 공역 『다산의 경학세계』 외 다수.
심재우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저서 『네 죄를 고하여라』 『조선후기 국가권력과 범죄 통제』, 공저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외 다수.
윤대원 |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저서 『데라우치 마사다케의 강제 병합 공작과 ‘한국병합’의 불법성』 『21세기 한·중·일 역사전쟁』, 논문 「19세기 변란 참가층의 사회적 관계망과 존재양태」 「1910년 병합 칙유의 문서상의 결함과 불법성」 외 다수.
전봉희 |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저서 『3칸×3칸, 한국건축의 유형학적 접근』 『한옥과 한국주택의 역사』 『한국근대도면의 원점』, 공동 기획 및 저술 『한국건축개념사전』 『김정식 구술집』 『윤승중 구술집』 『전환기의 한국건축과 4.3그룹』 『한국건축답사수첩』 외 다수.
조계영 |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공저 『동아시아의 문헌 교류』, 공역 『망우동지·주자동지』, 논문 「조선후기 실록의 세초 기록물과 절차」 외 다수.
조희진 | 안동대 민속학과 강사. 『선비와 피어싱』, 공저 『하회마을의 세계』 『마을민속 연구의 새지평』, 논문 「식민지 시기 생활개선 논의와 의생활강습회의 역할」 외 다수.
최진아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종교연구소 객원연구원. 공저 『서울 민속의 현재와 미래』 『무구의 이해』, 논문 「지전의 유래와 의미의 다양성」 외 다수.
황재문 |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교수. 저서 『안중근평전』, 공저 『한국 근대 초기의 어문학자』, 역서 『만국사물기원역사』, 논문 「‘환구음초’의 성격과 표현방식」 외 다수.


서평

  • 서평

태그

  • 태그

나의 태그

나의 태그 (0)

모든 이용자 태그

모든 이용자 태그 (0) 태그 목록형 보기 태그 구름형 보기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9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도서관
대표전화 02-2124-6461